
지난 18일 산업은행은 ‘엔화강세 및 엔화금리 상승이 국내 경제·산업 및 금융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최근 엔화강세가 지속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금융시장의 불안이 심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로 인해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확대와 외국자본 이탈을 막기 위해 시장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국가적인 금융시스템 안정화 대책이 절실하다는 주장이다.
◆ 엔화 금융시장 시한폭탄 되나
엔/달러 환율이 지난 7월을 분수령으로 급격히 하락하면서 국제 외환시장의 위협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거래 증가 및 미국의 연방기금금리 인하 가능성 고조에서 비롯된다.
실제로 엔/달러 환율은 지난 7월말 120엔대가 붕괴된 후 불과 한 달여 만에 115.8엔을 기록한 반면 원/100엔 환율은 8월말 810.5원으로 지난 6월말 보다 8.1% 상승했다.
이에 산업은행은 국제 외환시장에서 엔화강세가 급격히 이뤄져 그 파급효과가 국내 금융시장에까지 미친다면 최악의 경우 1998년 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LTCM)의 사태 당시의 시장쇼크를 되풀이할 가능성도 높다고 우려했다.
◆ 모니터링 강화 등 대책마련 절실
따라서 엔화 강세로 촉발될 수 있는 국내 금융시장의 혼란을 막기 위해선 국가적인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확보가 시급하다.
산업은행은 글로벌 금융환경 변화 및 불안정성 증폭 가능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글로벌 금융시장의 혼란 시 전염효과(Contagion Effect)를 최소화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거시적·미시적 건전성 감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금융기관의 외화차입 및 대출 실태, 특히 엔화 대출관행에 대한 실태 등을 파악하고, 금융시장의 군집행위(Herd Behavior)를 막을 수 있도록 정책의 신뢰도를 제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최근 지속되고 있는 엔화강세와 엔화금리 상승은 국내경제 전 부문에 걸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그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극복하기 위해선 금융은 물론 경제, 산업측면에서의 종합적인 대응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배규민 기자 bk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