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조의 강한 반발에 사측이 결국 대물보상 통합자회사 설립계획을 포기한 것으로 풀이된다.
11일 손보업계에 따르면 메리츠화재 등 손보 3사의 경영진들은 손해율은 높아지고 사업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이로인해 만성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자동차보험의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물보상 부문 통합 자회사를 설립해 아웃소싱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본지 3月2日참조)
이를 위해 지난달 3개사의 대표이사가 모여 심도있는 논의를 펼쳤고 실무자로 구성된 TF팀을 구성하는 등 실질적인 작업이 이뤄졌지만 노조측은 이를 수용할 수 없다며 반대해왔다.
이러한 가운데 3사 중 가장 회사규모가 큰 메리츠화재가 최근 실시된 경영전략회의에서 원명수 사장<사진>이 대물보상조직의 통합계획을 철회키로 선언하면서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메리츠화재의 한 관계자는 “ 그 동안 자동차보험에 있어 시장점유율 하락 등 규모는 줄어들고 있는 반면 인건비 등 고정비용은 유지되고 있어 경영상 부담이 커진다고 판단해 대물보상조직의 통합안을 검토해왔지만 현 시점에서 이보다는 전 직원들이 합심해 수익성을 향상시키는 등 자구노력에 더욱 심혈을 기울이는 것이 낫다는 방향으로 중지를 모았다”고 설명했다.
메리츠화재 노조 역시 “3사 통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크지 않다는 점 등을 주장했고 이에 사측이 수용한 것”이라며 “향후 회사의 목표달성을 위해 전직원이 단합해야 하는 시기라는 점에 노사가 공감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일각에서는 메리츠화재가 계획을 수정하자 동참하려던 한화손보, 제일화재 역시 통합조직 계획에 상당한 차질을 빚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규모가 가장 큰 메리츠화재에서 철회한 만큼 그 영향이 나머지 손보사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사실상 나머지 손보사들도 무산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추정했다.
한편 삼성화재를 비롯해 현대해상, 동부화재, LIG손보 등 상위 대형사들은 손해사정서비스㈜를 자회사로 두고 대물보상 업무를 아웃소싱해 운영하고 있으며 나머지 손보사들은 회사내 보상조직에서 대물보상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김양규 기자 kyk74@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