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보험사 회계기준 변경과 손해율 상승 등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6일 금융감독원 및 보험업계에 따르면 2006회계연도 상반기(4~9월) 22개 생보사의 순익은 총 7,801억원으로 전년의 같은 기간보다 무려 31.5%나 감소했다.
이 처럼 보험사의 당기순익이 줄어든 원인은 미보고발생손해액(IBNR)에 대한 적립기준이 강화되면서 책임준비금이 늘어난데다 삼성생명의 경우 지난해 4월 자산재평가차익에 대한 법인세 환급을 받았으나 올해는 이와 같은 잡수익이 크게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동 기간 생보사의 보험료 수익은 변액보험의 보험료 수익이 94.8% 증가한 데 따라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12.3% 증가한 31조2,786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금감원은 최근 변액보험 가입자의 피해발생 우려가 폭증하면서 소비자들의 변액보험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커져 지난 7~9월 변액보험의 초회보험료 실적은 전년 동기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또한 대출채권 중 주택담보대출은 10조3,260억원으로 지난해 9월 말 대비 1.2% 증가했으나 10조 3,992억원을 기록, 올해 주택담보대출이 가장 많았던 5월에 비해서는 감소했다.
손보업계 상반기 당기순익 역시 지난동기에 비해 41.7% 줄어든 4,718억원을 기록했다.
손보업계 역시 당기순익이 큰 폭으로 줄어든 원인이 차 보험의 지속적인 손해율 상승과 IBNR의 적립강화 등에 따라 영업이익이 4,087억원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IBNR 적립강화에 따른 영향을 배제 할 경우 당기순익은 7,31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9.6% 감소한 것이다.
이 같은 실적 감소는 자동차보험의 손해율이 악화됨에 따라 전체손해율이 78.1%를기록하는 등 전년의 같은 기간에 비해 2.6% 포인트 상승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상반기 손보업게의 보험영업실적은 14.4%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면서 보유보험료의 규모가 전년동기(11조 4,472억원)보다 1조6,524억원 증가한 13조996억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장기보험의 두드러진 실적호조와 자동차보험 실적의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3ㆍ4분기에도 자동차보험의 손해율 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고 자산운용의 여건 역시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돼 2ㆍ4분기와 비슷한 수준의 실적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생보시장내 대형사의 시장점유율은 62.0%로 전년동기보다 3.0%p 하락한 반면 외국사 및 중소형사는 각각 19.3%, 18.6%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1.8%p, 1.1%p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변액보험의 판매증가 및 방카슈랑스를 통한 영업활성화로 시장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채널별 보험료수익(초회) 비중은 설계사조직이 43.5%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방카슈랑스(29.1%), 임직원(21.0%), 대리점(6.4%) 순이었다.
특히 방카슈랑스 채널의 비중은 32.7%를 기록했던 전년동기 보다 3.6%p 감소했으나 KB생명 등 9개사는 방카슈랑스를 통한 판매비중이 50%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FY06. 상반기(06. 4~9월) 보험회사 손익현황>
(단위 : 억원)
¹) 대한생명은 매도가능증권 처분이익이
전년동기 보다 972억원 감소한데 주로 기인
²) 삼성생명은 ’05.4월 자산재평가차익에 대한 법인세 환급금(2,134억원)
제외시 당기순이익이 전년동기 보다 △277억원 감소
참조 : 손해보험사의 경우 동경해상 등
13개사의 실적 집계는 표에서 제외했음.
김양규 기자 kyk74@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