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계 전문가들은 이 과정이 신한지주엔 지배구조를 견고히 하는 계기로, 우리금융엔 민영화에 따른 변동성이 시작되는 계기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오는 20일 열릴 예정인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신한지주와 우리금융 지분매각 등의 자산회수에 대한 내용을 의결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11일 금융계 한 고위관계자는 “우선주에서 보통주로 전환한 신한지주 지분 6.22%를 비롯해 우리금융 지분 등 전체 자산을 정리해가기 위해 조만간 공자위에서 의결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신한지주, 재일교포 주축 우호지분 늘리기 예상= 예보는 조흥은행 매각과정에서 신한지주로부터 우선상환주 4400만주를 받았으며 이중 절반에 해당하는 2200만주(6.22%)는 지난해 보통주로 전환했다.
오는 8월 이후엔 나머지 지분도 보통주로 전환해야 하는 일정에 따라 물량 부담을 덜기 위해서라도 8월 이전에 기존 지분을 팔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신한지주 최근 주가가 4만원 안팎임을 감안하면 8800억원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이 지분은 일단 신한지주가 우선매수권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신한지주로서는 예보의 지분을 전부 인수한 후 우호적인 투자자에게 되팔거나 미리 우호 투자자를 모집해 예보 지분을 인수하는 방식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신한지주에서 살 경우 현재 비은행 부문의 M&A를 염두에 두고 있는 상황에서 8800억원에 달하는 자금 부담도 만만치 않아 우호 투자자를 모을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신한지주 입장에서는 재일교포를 주축으로 하는 지배구조가 더욱 견고해 질 전망이다.
지난해 12월 신한생명이 신한지주의 자회사로 편입된 후 재일교포 지분이 기존 17%대에서 22%대 까지 올라간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만일 예보 지분도 재일교포 등의 우호 투자자들이 인수하게 될 경우 지배구조는 더욱 탄탄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우리금융, 민영화·지배구조 물 밑 틀 잡기 시작=반면 우리금융은 빠르면 오는 2007년 3월, 늦추더라도 2008년 3월을 시한으로 한 민영화 플랜에 따라 올해 지분 매각작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서 공자위가 20일 우리금융 지분 일부를 매각하기로 의결하게 되면 민영화 프로그램 가동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는 셈이다.
물론 현재 국회 차원에서 우리금융 민영화 시한을 없애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어 변수로 작용할 수 있지만 시한에 쫓겨서 민영화 프로그램이 전개된다면 지배구조의 변동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
당초 우리금융 민영화 일정은 2005년 3월까지였으나 이후 2007년 3월까지로 늦춰졌으며 공자위의 동의를 전제로 1년 연장할 수 있게 돼 있다.
현재 최대주주로서 예보가 갖고 있는 우리금융 지분은 전체의 77.97%에 해당하는 6억2845만주이며 나머지 소액주주가 22.03%(1억7755만주)를 지니고 있다.
11일 종가 1만9350원 기준으로 계산하면 총 12조1605억원에 해당하는 물량으로 정부가 최대주주를 면하는 수준으로 지분을 팔면 된다.
정부가 갖고 있는 물량이 큰 만큼 이를 매각하는 과정에서 주인 찾기가 쉽지 않고 그만큼 지배구조가 어떻게 바뀔지 변동성은 크다는 게 금융계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원정희 기자 hgga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