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방카슈랑스 시스템 구축에 일정부분의 기간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논의만 진행될 뿐 결정이 나지 않아 향후 개발 일정에 차질이 빚어질 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은행권은 당초 예정대로 자동차보험을 판매하는 시스템으로 개발 중에 있다.
그러나 향후 방카슈랑스 판매 정책 변화에 대비, 하드웨어 등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투자를 미루고 있는 상태다.
방카슈랑스 2단계 정책은 당초 보장성보험과 자동차보험 상품을 판매하는 범위로 내년 4월부터 시행할 계획이었으나 보험업계에서 강력하게 반대에 나서 현재 재 논의중에 있다.
또 최근에는 2단계 방카슈랑스 판매 범위에 자동차보험이 제외될 것이라는 내용이 보도되기도 했다.
국민은행 수신IT팀 김영민 팀장은 “국회에서 최종 결정이 이뤄질 까지는 당초 예정대로 시스템을 개발할 수밖에 없다”며 “그러나 시일이 더 늦어지게 되면 4월 시행을 위한 시스템 개발에 무리가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결정이 지연될수록 먼저 투자한 부분에 대해 손실이 발생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금융감독위원회와 재정경제부는 협의를 통해 다음달 초까지 2단계 방카슈랑스 방안을 최종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신혜권 기자 hksh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