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론 회장추천위원회가 청와대, 재정경제부와 협의를 하고 있는 상황이기는 하지만 이번 인사를 뒤집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청와대 역시 황 전 사장에 대해 거부의사를 밝히고 있지 않은 상태라 여론이 급격하게 악화되지 않는 이상 발표 시기만 조정하는 일이 남아 있을 뿐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하지만 정작 문제가 되는 것은 조직의 안정과 황 전 사장을 놓고 제기되고 있는 비판이다. 벌써 지주회사는 물론 노조, 시민단체가 들썩이고 있다.
우선 황영기 전 사장이 우리금융 회장과 우리은행장의 겸임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련 자회사들이 술렁인다. 당장 우리은행의 경우 황 전 사장이 52년 생으로 연령으로는 은행에서 부서장 급에 해당한다.
새 행장의 연령에 따라 대규모 임원 인사가 이뤄져 왔다는 관례로 볼 때 조직의 변화가 상당폭에 달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지주회사 역시 새 회장의 선임에 따라 골격이 달라지면서 새롭게 방향을 설정하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에 휩싸이고 있다.
당장 우리은행 노조가 먼저 반기를 들고 나섰다.
이성진 노조위원장은 “지금은 조직의 안정이 중요하다”며 “황 전 사장은 결격 사유가 많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간부들을 비상소집 해놓은 상태이고 추천 발표 순간부터 수위를 높여가며 투쟁에 돌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산업노조 역시 지난 4일 성명서를 통해 “산업자본의 금융산업 진출이라는 오해를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하다”며 “특정재벌기업집단에 편중된 인사가 선임될 경우 강력한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민단체 역시 마찬가지다. 참여연대도 이날 “황영기 사장이 우리금융의 회장이 될 경우 수년째 해결되지 않고 있는 삼성자동차 부채관련 손실보전 협약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겠느냐”며 반대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이에 대해 KDI 김준닫기

한발 더 나간 주장도 나온다.
정승일 대안연대 정책위원은 “황 전 사장이 산업자본의 은행 진출이라는 물꼬를 틀 수 있다면 오히려 다행”이라며 “현재 국내 경제의 문제는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의 분리 때문이 아니라 둘의 관계가 원활하지 못한 탓”이라고 지적했다.
한계희 기자 gh01@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