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통합직후 직원들간 융합을 약속했던 은행장들의 공약이 공염불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27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국민+주택) 우리(상업+한일) 하나(하나+서울)은행 등 대형은행들의 직원들간 인적융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노사간 또는 직원들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로 국민은행은 오는 3월부터 옛 국민은행과 옛 주택은행 간 500 0여명에 이르는 대규모 교차근무를 실시할 예정이지만 인적통합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당초 국민은행 노조는 교차근무 인원을 전체 직원중 50%선을 요구했지만 경영진은 직원간 갈등을 우려해 대상인원을 30%선으로 줄였다. 노조통합 등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교차근무를 다급하게 서두룰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12월 2일부터 순차적으로 교차근무를 실시하고 있는 하나은행은 아직 보수 및 직급체계 등에 대한 뚜렷한 시스템이 마련되지 않고 있어 직원들간 이견대립이 심각한 상태다.
이에 따라 2월 현재 10여개 점포에 70여명 수준(신설 6개 포함)으로 교차근무를 실시하고 있지만 출신은행에 따라 보수체계가 다르게 적용되고 있어 옛 서울은행 직원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대해 하나은행 관계자는 “전산통합이 마무리되는 오는 5월 5일까지 전 영업점을 대상으로 교차통합발령을 마무리지을 방침”이라며 “직급·보수체계도 시급히 개선해 불만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통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은행 노조측도 교차발령, 일방적 전산-업무통합 및 조직운영의 경직성 등을 시급히 개선해야 할 과제로 지적했다.
서울은행 노조 관계자는 “경영진측과 아직 구체적인 협상이 진행되고 있지는 않지만 임금부문은 양 조직간 임금격차 해소를 원칙으로 라이프사이클을 감안한 임금체계를, 평가제도 등은 옛 서울은행의 문화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앞으로 옛 서울은행 직원뿐만 아니라 통합은행 전 직원의 권익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노사관계의 재정립과 통합노조의 출범이 중요한 만큼 양 노조가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노조통합을 마무리지은 우리은행도 상업과 한일은행 직원들간 완전한 인적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한 가족으로서의 마인드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체계 및 경영진의 노력이 더 많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김영수 기자 ky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