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SI업체의 사업전략에는 IT공급자로서의 역할 뿐 만 아니라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는 전략이 눈에 띤다.
사업수주에만 나서는 단편적인 전략보다는, 금융권을 장기적인 고객확보 대상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색다른 전략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올해 금융SI시장 전망이 좋지 않다는 점도 작용했지만 동시에 고도화된 금융서비스를 표방하는 금융권의 니즈에 따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 규모의 경제를 통한 전산투자의 확대와 비용절감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기 위한 금융권의 현실을 따라 잡으려는 SI업체의 절박함도 담겨있다.
이에 따라 SI프로젝트도 단순한 저가입찰방식보다는 품질과 서비스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패턴이 일반화될 전망이다.
LG CNS는 IT공급자 뿐 만 아니라 사업동반자로서 고객 신뢰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문인력 확보, 글로벌 업체와의 제휴 강화 등에 주력할 예정이다.
차세대와 CRM부문의 역량을 집중해 부가가치 높은 서비스 제공에 나서고, 이슈화되고 있는 방카슈랑스시스템이나 EAI기반의 업무통합, ERP 등도 솔루션 개발과 제휴 등을 통해 공급할 계획이다.
SK C&C도 차세대 뱅킹 사업 등 금융권의 차세대 사업에 총력을 기울인다.
은행 차세대 뱅킹 사업을 위해 세계 코어뱅킹 솔루션의 선두 제품 중 하나인 플렉스큐브를 선택하고 활발한 사업에 나선다.
SK C&C는 금융SI 사업의 후발 주자이지만 올해는 전사적인 역량을 동원, 선두업체로 진입하는 원년으로 삼겠다는 각오다.
한국IBM은 차별화(Differentiation), 유연화(Resilience), 효율화(Efficiency)를 통해 선택과 집중에 의한 금융기관 유형별로 적합한 인프라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여러 금융관련 연구소에서 각 부분 솔루션을 개발하고 통합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기존 컨설팅 조직과 서비스 인력을 보강하고 정비할 예정이다.
또 다양한 이(異)기종 환경을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웹서비스와 그리드(Grid) 컴퓨팅 등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할 예정이다.
한국HP는 금융IT시장의 리더로 성장해 토털 솔루션 공급자로 HP 서비스 그룹을 IT 서비스 시장 선두업체로 위치를 확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차세대시스템, 재해복구시스템 및 BCP(Business Continuous Planning), 콜센터, 모바일 금융서비스 등에 영업력을 집중한다.
특히 지난해 이뤄진 컴팩과의 합병 시너지 효과의 시험도 치뤄진다.
HP는 합병 후 금융부문에 있어 수많은 고객 레퍼런스 및 솔루션, 비즈니스 컨설팅역량을 가지고 시너지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노틸러스효성은 효율성을 최대한 활용해 보다 경제적인 비용으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고객만족 실현에 나선다.
또 효성데이타시스템과 효성컴퓨터의 합병 시너지 효과를 바탕으로 규모의 경제를 통해 고객과의 파트너쉽을 유지해 나갈 계획이다. 금융IT팀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