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대형투자가 필요한 재해복구시스템 구축사업도 비용절감을 위한 검토가 길어지면서 규모가 축소되거나 연기되고 있다.
그나마 대우증권 계좌도용사건을 계기로 공인인증과 보안분야에는 비교적 많은 투자가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증시침체 등의 여파로 증권사의 IT투자가 위축되고 있는 등 금융IT의 수요가 축소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장미빛 시장을 예상했던 금융관련 IT업체들은 적절한 대응책이 없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금감원의 ‘재해복구시스템 구축 권고안’ 시한이 연말까지이지만 아직 이렇다할 구축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증권사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업계는 주식시장 침체로 인해 예산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규모 IT투자에는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재해복구시스템을 아직 구축하지 못한 대부분의 증권사들은 일단 올해 말까지 구축을 완료한다는 계획을 잡아놓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계획일 뿐 제대로 진행될지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증권사들이 이렇듯 IT투자에 신중함을 기하는 것은 한마디로 예산이 없기 때문이다.
증권업계 전산관계자는 “예전보다는 나아졌지만 증시침체의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 곳이 전산분야”라며 “하지만 해야할 프로젝트를 안할 수는 없어 최대한 비용을 줄이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밝혔다.
동원증권은 올초부터 시작된 재해복구 사업이 컨설팅 완료후 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면서 본격적인 구축작업에는 아직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SK증권도 연초 세웠던 2-3개의 IT사업을 일정부분 연기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일부 대형증권사는 온라인 마케팅을 축소하는 반면 투자정보, 애널리스트 영입 등 내실을 기하기 위한 오프라인 강화방안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도 IT프로젝트가 축소되는 이유”인 것으로 분석했다.
장시형 기자 z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