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논란이 됐던 공인인증서 발급비용 문제에 대해 증권사간 합의가 이뤄졌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증권사들이 증권전산협의회를 통해 공인인증서 발급비용을 증권사별 계좌수를 기준으로 분담키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1년 후 인증서 발급비용은 사용자가 부담하기로 일단 결정했지만 추후 재협의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금감원 등 금융당국이 11월로 공인인증서 도입 방침을 정했지만 그동안 공인인증서 발급 비용 분담 기준을 두고 증권사 및 사용자 간 논란을 벌여왔었다.
즉 2개 이상 증권사의 HTS를 통해 주식 투자를 하는 개인투자자가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을 경우 어떤 증권사가 이 비용을 분담하느냐를 두고 증권사간 합의점 도출에 어려움을 겪었던 것이다.
한 장의 공인인증서만 있으면 다른 증권사의 HTS를 통해서도 주식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증서를 신청받고 발급하는 증권사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면 다른 증권사들은 비용 부담없이 무임승차하는 불평등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증권사들은 인증서 비용 분담 기준으로 계좌수, 시장점유율, 사용자기반 등을 두고 협의를 해왔다.
한편 1년 후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비용을 부담키로 했으며 공인인증서 저장매체는 하드디스크는 제외한다는 방침에 따라 이동성이 편리한 USB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USB키 등은 증권사들이 공동구매를 통해 무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사이버 주식거래시 공인인증서는 처음 로그인할 때 한번만 인증서를 발급받도록 했으며 거래시 마다 인증을 받는 불편을 없앴다.
증권사 관계자는 “이번 공인인증서 발급비용 분담원칙 합의에 따라 증권사들은 빠르면 올 11월부터 공인인증서 도입이 본격화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공인인증이란 온라인 증권거래시 고객의 신원을 증명해주는 일종의 전자인감으로 투자자들이 주식거래를 할 때 ID와 비밀번호 외에 전자 서명을 입력해 온라인 해킹 및 불법매매를 원천적으로 막는 보안서비스다.
금감원은 당초 내년 1월부터 공인인증서를 도입하려고 했지만 최근 대우증권의 기관투자가 계좌 도용사건 등을 계기로 사이버 금융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오는 11월부터 조기 도입을 결정한 바 있다.
장시형 기자 z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