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관계자는 "무역금융의 경우 기술적인 측면이 있고 정교하게 서류가 조작돼 매년 실시하는 은행의 일반검사에서 적발해 내기 어려웠다"며 "다만 이상징후에 대해 특별검사를 실시하는 등 내부통제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한 측면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쌍용의 경우 선적서류를 진짜와 가짜를 섞어 사용하는 바람에 담당 실무선에서 다소 간과한 부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 사건이 개인적인 차원인지 회사차원인지에 대해서는 "규모가 크다는 점을 주시하고 있다"고만 밝혔다.
이 관계자는 "현재 담당 행원부터 책임자급까지 질의서를 송부한 상황"이라며 "쌍용의 경우 담당간부 1명은 이미 구속됐고 나머지 한명은 도주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은행 경영진들에 대한 책임여부와 관련해선 "검사결과 은행장 이하 모든 관련자들에게 책임을 물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와관련 김중회 금감원 부원장보는 "현재 검찰의 수사와 관련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최종 결과에 따라 해당은행 경영진에 대한 문책수위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혀 최고경영진에 대한 문책방침을 시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사고금액 처리와 관련 "주채권은행인 조흥은행이 사고금액중 600억원을 일반대출로 전환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일반대출 전환문제는 은행이 자체적으로 판단할 문제"라고 밝혔다.
이와관련 쌍용의 자체부실을 무역금융사기를 통해 메꿔온 것을 은행이 다시 일반대출로 전환해주는 것은 특혜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