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난 21일 개최한 ‘하반기 금융시장 전망세미나’에서 제1금융권분야 발표에 나선 김동환 연구위원(금융연구원)은 “하반기 공적자금 상환으로 인한 예금보험료율 인상이 예상돼 장기 정기 예금금리를 중심으로 수신금리 인하가 예상되고, 대출금리는 상승할 가능성이 높지만 저금리 정책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여 상승 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 내다봤다.
또한 김 연구위원은 “고수익 기대심리 증가로 시중자금이 은행권 및 비은행권의 단기 금융상품으로 이동하는 단기부동화 현상이 심화될 가능성이 크지만, 증시가 회복되면 투신사의 주식형·혼합형 상품과 증권사로 자금이 이동할 가능성도 높다”고 전망했다.
기업금융에 대해서는 우선 대기업의 탈은행 현상이 가시화될 것으로 보이며 반면에 중소기업의 은행의존도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가계금융은 부동산 경기 과열에 대한 경계와 내구소비재 지출수요가 한계에 다다를 것으로 보여 대출신장세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리고 은행 수익면에서 예보료율의 인상은 단기적으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지만 은행들이 예대마진 확대로 이를 상쇄할 가능성이 커 그 효과는 제한적인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고 김 연구위원은 말했다.
외환시장 분석에 나선 김종만 국제금융센터 수석연구위원은 “투자자들이 달러화와 엔화를 기피하는 것으로 조사돼 달러화와 엔화는 하반기에도 약세를 면치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엔/달러 환율은 일본경제가 2/4분기 이후 침체상황에 빠질 우려가 제기되면서 상승세로 반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김 수석연구위원은 말했다.
전지선 기자 fnzz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