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보증보험은 자체 미수채권 추심업무를 하면서 쌓은 노하우로 채권추심 업무를 본격적으로 시작함으로써 경영정상화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해 자회사를 통한 신용정보업 진출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서울보증보험은 아직까지 금융감독위원회에 출자승인신청서나 업종승인신청서 제출 등은 하지 않은 상태다.
신용정보업계는 대다수 금융기관과 업무제휴를 하고 있는 서울보증보험이 신용정보업에 진출해 금융권 채권추심은 물론 일반채권 추심업무까지 잠식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서울보증보험 관계자는 “신용정보업 진출에 대한 내부 검토를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채권추심업 전반이 아닌 공적자금 조기상환을 위해 금융권채권 추심업무 등에 한해 검토중이다”고 말했다.
금감위 관계자는 “공적자금이 투입된 회사가 자회사까지 설립하도록 한다면 구조조정 회사에 대한 ‘도덕적 해이’가 생길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며 “아직까지 서울보증보험이 자회사 설립을 통해 채권추심업무를 하겠다는 구체적인 건의는 하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서울보증보험 이외에도 신한은행이 자회사 설립을 통한 신용정보업 사업승인서를 금감위에 제출한 상태며 오는 28일 금감위 의결을 통해 승인여부가 발표될 예정이다.
한편 26개 신용정보사들은 이미 금융감독원에 새로운 신용정보사 설립 승인에 대한 반대의견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호성 기자 khs@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