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카드사 대손충당금 비율을 은행수준으로 높이라는 방침에 대해 카드사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카드사들은 현재 금감원이 정한 가이드라인을 초월해 충당금을 적립하고 있고 더욱이 지난해에는 7개 카드사 당기순이익 규모에 달하는 2조4,677억원의 충당금을 쌓아 ‘의도적 흑자 줄이기’란 비난까지 받았다.
즉 카드사들은 지금까지 적정치의 4배 가까이 충당금을 쌓아왔음에도 불구하고 은행권 가계대출규모가 위험수위에 이르자 이제와서 정부가 카드사들의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을 거론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는 것.
정부의 이번 방침은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의 연체채권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현재 금감원은 카드사들의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연체의 경우 연체금액의 15%를 추정손실로 감안, 100% 충당금을 쌓도록 하고 있다.
또한 6개월 이상은 연체금액의 25%에 해당하는 금액만 100% 대손충당금을 적립하게 하고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는 5%를 적용하고 있다.
반면 은행은 3개월 이상된 신용카드 연체금에 대해서는 50%, 6개월 이상은 무조건 100%의 충당금을 쌓도록 하고 있다.
가이드라인으로만 본다면 은행이 더욱 엄격한 편이나 카드사들의 실제 대손충당금 적립 비율은 이보다 높다.
국민카드의 경우 이미 3개월 이상 연체금에 대해 50%의 충당금을 쌓고 있고 6개월 이상은 100% 적립하고 있다.
여기에 6개월 이상 연체된 카드론도 100% 대손충당금을 적립하고 있고 일부 연체조짐이 보이는 회원의 경우는 6개월이 넘지 않아도 전액을 충당금으로 쌓고 있다.
국민카드 외에도 카드업계는 지난 6월말 결산 기준으로 볼 때 순이익의 296.7%를 충당금으로 적립했고 삼성카드의 경우는 542.6%에 달한다.
또한 지난해 말 주요 카드사들은 삼성 6,542억원, LG 7,918억원, 국민 2,448억원, 현대 1,540억원, 외환 922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쌓아 9~12조에 달하는 일부 대형카드사들의 자산규모와 비교해도 많이 적립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금감원 비은행감독국 관계자는“이번 정부의 충당금 상향조정안은 단순히 가이드라인 측면에서 은행수준을 요구한 것에 불과하며 자선건정성 측면만 본다면 카드사들이 은행보다 더 우량하다”고 말했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 역시“정부의 감독규정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카드사들은 대손충당금을 여유있게 쌓았기 때문에 적립 기준이 상향 조정돼더라도 전혀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지선 기자 fnzz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