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자원부가 자금을 지원하는 B2B 네트워크 구축 사업중 지급결제 부문에서 금융결제원 컨소시엄과 신용보증기금 컨소시엄이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이번에 자금을 지원받게 되는 컨소시엄이 금융 물류 보증 신용평가 등을 포함한 B2B 전자상거래 사업에서 주도권을 잡게 되므로 금결원과 신보가 마지막까지 팽팽하게 맞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금결원과 신보가 산자부가 제안한 컨소시엄 연합 협의에 실패하는 등 자기 욕심만 앞세워 대립하다 중복 투자를 유발시킨다며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1일 금융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산자부가 오는 12일, B2B 네트워크 구축 사업의 신규 선정 대상업종인 ‘지급결제 3자 지원 컨소시엄’을 최종 발표한다.
산자부 관계자는 “B2B 네트워크 구축과 관련, 이번에 무역결제, 지급결제, 협업간 데이터 지원 등이 신규로 포함됐는데 금결원과 신보는 지급결제 부문에서 경쟁하고 있다”며 “금융 물류 보증부문에서 기업들간의 협업관계를 얼마나 잘 구성했는지 또 모든 업종에 걸쳐 B2B 전자상거래를 얼마나 활성화시킬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자금 지원 대상 컨소시엄을 선정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번 산자부 프로젝트에 금결원은 공동망에 가입한 전 은행, 신보는 외환 하나 기업 신한 등 4개 은행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하고 있다. 금결원은 은행들과 공동으로 구축한 B2B 결제시스템 등 기존의 금융 인프라와 금융기관간 커뮤니티를 활용한 ‘표준 결제 시스템’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신보는 ‘보증’을 통해 기업들의 구매력을 보완하는데 자신감을 표하고 있다.
금결원 컨소시엄이 표준화된 결제시스템을 갖추고 있지만 기업 지원 기능이 약하고, 신보 컨소시엄은 보증을 활용한 기업 지원 부문에 뛰어난 반면 결제시스템을 다시 구축하는 등 중복 투자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는 약점을 안고 있다.
산자부는 당초 지급결제 3자 지원 컨소시엄 신청을 받으면서 금결원과 신보가 연합한 그랜드 컨소시엄 구성을 제안했다. 이후 본심사가 있던 이번달 6일전까지 금결원과 신보가 연합하기 위해 협의를 진행했으나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해 결국 두개 컨소시엄이 개별적으로 경합하게 됐다. 금결원과 신보는 신용평가 물류 등 부가 서비스 주도권을 놓고 의견 차이를 보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일부 금융권 관계자들은 금결원과 신보 컨소시엄의 경쟁을 못마땅해 하고 있다. 두 컨소시엄이 부가 서비스 주도권을 놓고 다투다가 연합하지 못해 업무 지원과 비용면에서 중복 투자가 발생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금결원과 신보가 조금씩 양보했으면 불필요한 경쟁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며 “두 컨소시엄중 어느 쪽이 선정되더라도 주요 인프라에 두번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국가 예산이 낭비되는 결과가 초래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