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은행이 카드전업사로 법인체를 바꾸는 형식으로 명맥을 유지하게 됐다.
난산을 거듭해온 평화은행의 한빛은행으로의 흡수합병문제가 은행본체는 한빛은행에 흡수되고 카드사업부는 카드전업사로 독립하는 방식으로 최종 결론이 났다.
한편, 평화은행 간판과 로고는 내년 6월까지 사용되며 지점의 통폐합도 기능재편시까지는 보류됐다. 최대 난제인 고용승계와 관련해서는 평화은행 전체 직원 910명중 10% 안팎(80~120여명)이 카드사에 잔류하고 나머지 직원들중 명예퇴직으로 일부가 물러나고 일부는 신설되는 IT, AMC등 자회사와 한빛은행이 고용을 승계키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평화은행 처리방식에 대해 금융계는 조기합병에 따른 노동계의 반발을 무마하는 동시에 연내 자회사간의 구조조정을 마무리하려는 고육책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15일 금융계에 따르면 평화은행 처리문제와 관련 우리금융과 한국노총이 상당한 의견접근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금융 회장단과 한국노총 고위 관계자는 지난주말 모임을 갖고 평화은행의 은행법인을 카드사 법인으로 전환하는데 합의했다. 당초 우리금융은 P&A 방식으로 평화은행과 한빛은행의 합병을 추진키로 했지만 직원반발과 급격한 영업력 위축이 우려돼 고민해 왔었다.
이와 함께 우리금융과 한국노총은 평화은행의 간판과 로고는 내년 6월까지는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평화은행 지점도 기능재편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그대로 유지키로 합의했다. 고용 문제 해결방안도 구체적인 합의를 도출했다. 평화은행 직원중 80~120명은 카드사로 이동하고 나머지 직원은 한빛은행과 새로 설립되는 자산관리회사와 IT자회사가 승계한다.
조만간 명예퇴직도 실시된다. 명퇴금은 그동안 평화은행 직원들이 감자와 자사주 매입 등으로 경제적 타격을 입은 것을 감안해 최소 22개월치 급여를 기준으로 논의중이다.
이에 대해 금융계는 일단 우리금융과 노동계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책이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실제로 지난 9일 노사정위원회는 금융특위를 통해 평화은행 문제를 논의했지만 특별한 결론을 얻지 못하고 노사정 본회의에서 다시 논의키로 했다. 당초 노동계는 평화은행의 조기합병을 노사정합의 위배라며 강력하게 반발했지만 점차 조기합병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는 형국이다.
한편, 한빛은행 노조와 우리금융은 각각 3명씩으로 구성된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카드전업사 설립과 관련된 세부사항을 협의중이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