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사상 유례없는 테러쇼크 충격은 가감없이 국내 증시를 강타했다. 12시 증시개장 1분만에 주가지수 50P, 코스닥 6P까지 급락했으며 개장 2분후에는 주식 선물 옵션 모두 서킷브레이크가 발동됐다. 또한 옵션시장에서도 콜옵션과 풋옵션을 동시 매도해 안정적인 수익을 노리던 증권 투신사 등 기관들에 초비상이 걸렸다. 이에 따라 주요 증권사 투신 은행 등의 기관들은 긴급 대책회의를 소집, 포지션 청산방안을 협의했으며 증시가 개장된 12시부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손절매성 매물을 쏟아냈다.
선물시장도 혼란스럽기 마찬기지였다. 개장초 8%대까지 하락했던 주가지수선물은 금리하락에 대한 기대감으로 잠시 매수우위를 보였지만 미국발 쇼크에서 벗어나지는 못했다.
이처럼 미국발 대형쇼크로 인해 국내 증시가 패닉상태에 놓이면서 기관과 일반투자자들은 엄청난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업계전문가들은 당국의 증시개장 결정이 결과적으로 미국발 대형쇼크로 인한 피해를 막지는 못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즉 당국이 선물 만기일을 고려해 증시개장을 결정했지만 오히려 이보다는 폐장후 만기조정과 같은 차선책을 강구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업계관계자들은 “아시아 국가들의 증시상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증시개장을 결정했어야 했다”며 “시간적으로 여유를 둔 것은 잘했다고 볼 수 있지만 충분히 주가 대폭락이 예상된 상태였기 때문에 아무리 선물 만기일이 도래해도 폐장후 차선책을 마련하는 여유를 가졌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물론 일각에서는 당국의 증시개장 결정이 시장원리에 입각한 최선 책이라는 평도 없진 않다.
하지만 외생변수에 의해 발생된 역대 최대 낙폭을 경험한 투자자들의 외침에 가까운 불만은 이같은 논리를 무색케하고 있다.
임상연 기자 syl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