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월 3일 공식 오픈할 예정인 ‘한국ECN증권(가칭)’과 관련 증권업계가 ECN운영에 따른 부담으로 고민하고 있다.
28개 증권사가 공동으로 설립한 한국ECN컨설팅은 이미 시스템 개발 및 인허가 신청 작업에 들어간 반면 ECN 운영계획을 마련한 증권사는 거의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증권사에 비해 인력과 자금이 부족한 중소형증권사들은 최근 장기화 국면에 접어든 증시침체로 수익이 대폭 줄어들고 있어 ECN과 관련된 준비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13일 증권업계 관계자는 “올 2분기에는 증시악화로 증권사들마다 적자를 내고 있어 긴축경영에 들어간 상태라 ECN 운영계획 마련은 뒷전으로 밀려난 상태”라며 “오픈까지 2개월 정도 밖에 안남아 현재라도 인력충원 전산증설 등을 준비해야 하지만 자금부담으로 고민”이라고 하소연했다.
ECN이 당초 계획대로 12월 3일 오픈되면 증권사들은 오후장(4~9시) 개설로 인한 인력충원 및 전산증설 등이 불가피해진다.
특히 자금부 전산부 콜센터 등 주요부서에 대한 업무운영방침과 사고대책반 마련 등이 선행되야만 초기 ECN운영에 따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증권사중 이 같은 업무운영계획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곳은 한군데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 ECN과 관련된 시스템 개발계획 정도만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증권사 관계자는 “시스템 개발 및 자금소요에 관해서는 한국ECN컨설팅과 어느정도 논의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업무운영계획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준비가 안된 상태”라며 “초기 종가기준에 따른 거래로 인해 그다지 ECN이 활성화되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에서인지 특별한 계획없이 기존 자원과 업무방침으로 소화하려는 증권사들이 많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대부분의 증권사들이 특별한 업무운영계획보다는 기존 운영방침을 고수하고 인원충원 등 물리적인 부분도 내부적으로 소화한다는 방침을 가지고 있어 향후 ECN운영에 따른 사고 발생시 대책마련이 힘들 것이라는 지적이다.
업계전문가는 “국내 처음으로 도입되는 ECN은 시장초기 제도적 물리적인 문제들이 속속 나타날 것이 분명하다”며 “특히 ECN은 제도적으로 아직 불충분한 상태이기 때문에 증권사들마다 확실한 업무운영계획을 마련하고 사고대책반등을 강화하는 등 일단의 준비가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상연 기자 syl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