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제2차 금융구조조정과 예금부분보장제 시행을 앞두고 외은지점으로의 자금유입 규모가 상당할 것이라는 당초 예상보다는 적은 수준이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최근의 외은지점 수신동향`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외국은행 지점의 수신은 1조5천78억원으로 작년 한해동안 외은지점의 총수신 8천954억원에 비해 1.7배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만기 6개월미만의 단기정기예금이 1조780억원 증가해 수신증가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관계자는 `올들어 시티은행과 HSBC(외은지점 전체 수신증가액중 86.5% 차지)를 중심으로 외은 지점의 수신이 크게 증가했다`면서 `그러나 당초 제2차 금융구조조정과 예금부분보장제 실시로 인해 비우량 은행권에서 이탈할 30조원중 수조원가량이 외은 지점으로 유입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었는데 이와 비교하면 적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예금은행 수신중 외은지점의 비중은 99년 12월 0.9%, 올해 3월 1.0%, 6월 1.1%, 9월 1.1%, 10월 1.2% 등으로 꾸준히 증가해 왔으나 아직은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 10월중 외은지점의 계좌당 정기예금 평균잔액은 9천400만원으로 국내은행의 2천800만원의 3배를 웃돌았으며 5억원 초과 거액계좌비중(금액기준)도 50.9%로 국내은행(35.5%)보다 훨씬 높았다.
이와함께 요구불예금과 6개월미만 저축성예금 등 단기수신 비중은 국내은행의 47.9%를 크게 웃도는 83.3%였으며 개인수신 비중도 65.4%로 국내은행(62.8%)을 상회했다.
한은 관계자는 `외은지점 수신구조의 특징을 보면 거액예금과 단기자금, 개인예금 비중이 높다는 것`이라면서 `특히 외은지점들은 가계대출과 단기유가증권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단기예금 위주로 고객을 유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앞으로 외은지점으로의 자금 유입이 꾸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거액 개인예금이 국내은행에서 대거 이탈, 외은지점으로 몰릴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 `그러나 금융소득 종합과세 시행을 앞두고 외은지점에 거액 차명예금이 늘어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박준식 기자 impark@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