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O펀드내 투기등급채를 소화할 수 있는 신상품을 업계와 공동으로 검토했지만 현재로서는 비과세 CBO 외에 이렇다 할 대안이 없는데다 그나마 자금이 지속적으로 들어오고 있는 비과세 상품에 투기등급을 편입시킬 경우 자금유입이 중단될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더 이상 부실을 이연시키는 임시방편책 보다 시가로 평가해 이 기회에 부실을 털고 장차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서는 투신사와 증권사가 일정비율 대로 분담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투신권의 신뢰회복을 위해서 도움이 된다는 판단에 따라 시가평가를 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투신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이 최근 채권시가평가사들로 하여금 CBO펀드에 대해 시가평가를 하도록 방침을 정했으나 시가평가사들은 그동안 투기등급을 시가로 평가한 일이 전무한데다 축적된 자료가 없어 애를 먹고 있다.
시가평가사의 한 관계자는 “투기등급채에 대한 신용평가사들의 등급이 위험을 감안한 보수적인 기준으로 등급을 매겨 이를 시장에서 거래되는 적정한 가격으로 평가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시가로 평가할 경우 채권에 따른 금리변동 위험에 대해 투자자들이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아 시가평가에 대한 객관적 기준을 적용하기가 매우 힘들다고 고충을 털어놨다.
투신사의 한 관계자도 “CBO펀드는 리스크가 큰 만큼 현금보전을 위해 기관들이 일정부분 출자금액과 신용보강을 통해 현금흐름에 차질이 없도록 평가를 해오고 있으나 만기시 후순위채를 어디에 편입시킬 지가 마땅치 않다”고 설명했다.
한국펀드평가 우재룡 사장은 “만일 CBO펀드를 시가평가할 경우 수익률을 만기에 지급할 수 있는 지, 아니면 지급을 했더라도 롤오버되면 문제가 없지만 이 자금들이 재예치가 되는냐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재예치가 안된다면 시가로 평가할 수밖에 없는데 부실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펀드내에서 손실로 처리해야 하고 투신사가 손실을 떠안아야 하는 악순환이 발생한다는 설명이다.
김태경 기자 ktitk@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