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주식시장은 네오위즈의 공모가와 관련한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코스닥의 거품론과 맞물려 ‘말도 않되는 가격’이라고 보는 시각과 ‘수익모델이 확실한 유망 기업’이라고 보는 관점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하지만 대세는 거품론쪽으로 기울고 있는 양상. 최근 청약을 실시한 옥션의 경우 당초 예상보다 낮은 청약률을 기록한 것도 최근 코스닥시장에 불어 닥치고 있는 거품론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현재 네오위즈의 자본금은 6억원. 만일 지금대로 액면 100원에 공모가 3만5000원이 네오위즈의 기업가치를 대변하는 것이라면 네오위즈는 2100억원짜리 기업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네오위즈가 인터넷 기업중 보기 드물게 기술력과 수익성을 갖추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코스닥 시장이 거품론으로 인해 들썩이고 있는 상황에서 어느 누구도 네오위즈가 2100억원짜리 기업이라고 선뜻 인정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며 투자자들도 175만원짜리 주식을 사서 과연 얼마나 수익을 낼 수 있을 지 의문시하고 있다.
최근 상황에서 알 수 있듯이 공모주 청약이 더 이상 안정된 수익을 보장하는 안전지대가 아니고 주식시장이 전반적인 침체에 빠져있는 상황에서 만일 네오위즈의 주가가 급락한다면 공모주를 청약한 개인들에게 피해가 전가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다.
또한 적은 발행물량을 기반으로 단기간은 주가가 강세를 보인다 해도 네오위즈가 투자자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수익을 창출해 내지 못한다면 높은 공모가가 더욱 부담으로 작용할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한편 업계일각에서는 네오위즈의 공모 성공여부와 관계없이 무책임한 물량확보 경쟁으로 공모가 부풀리기에 일조하고 있는 기관투자가들의 투자행태에 대한 근본적인 처방이 필요한 때라는 지적들이 제기되고 있다.
김상욱 기자 sukim@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