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개발원이 공인인증기관 허가를 받기 위해 은행, 증권 등 타 금융권 인증제도 및 관계기관에 대한 조사작업을 마쳤다. 보험개발원은 인증기관 지정 추진을 일단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지만 인증료 및 설립시기 등에 관한 구체적인 일정이나 사항은 아직 정하지 않은 상태다.
보험개발원은 과거 보험사 전산망을 전담했기 때문에 보험사간 네트워크 연결 등에 필요한 인프라가 구축돼 있어 인증업무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보험업계는 전반적으로 보험개발원이 공인인증기관으로 지정되는 것을 반기고 있다.
사이버보험상품을 판매하려면 보험업계 전체 호환이 가능하고 통일된 인증 체계가 필요한데 보험업계 관계자들은 보험개발원이 인증기관으로 지정되면 이런 문제가 쉽게 풀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보험개발원이 보험계약자의 정보를 관리하며 보험산업 전반을 연구하는 중립 기관으로서 공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보험사들은 각기 한국정보인증과 같은 공인인증기관과 제휴해 전자인증 서비스를 하며 사이버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따라서 고객들이 사이버보험에 가입해도 보험사에서는 청약서를 다시 고객의 집에 보내야 하는 등 실질적인 의미의 ‘사이버판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고객 편의 향상 및 업무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삼성, 신동아화재가 지난 4일, 삼성, 교보생명이 지난 25일에 금감위로부터 전자인증 대행등록사업 허가를 받는 등 각 사별로 사이버상품판매를 위한 자구 노력을 해왔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일단 보험개발원이 인증기관으로 등록되면 인증 비용이 통일되고 인증의 유용성이 높아지는 등 장점이 많지만 보험개발원 자체 수익 사업으로 이를 추진한다면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선 기자 una@kftimes.c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