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삼성자동차 채권단과 부산지법 파산부에 따르면 채권단은 당초 삼성물산측과 삼성차의 우발채무조정문제를 해결하고 오는 21일 이전에 프랑스 파리에서 르노측과 삼성차 매각협상을 벌이려 했었다.
그러나 채권단과 삼성물산은 지난 6, 7, 11일 3차례에 걸쳐 우발채무 조정문제를 논의했으나 합의하지 못했고 법원의 최종 중재안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특히 삼성물산은 법원의 최종 중재안 동의 통보기한인 지난 15일 `법원의 조정안 수용여부에 대해 조속한 시일내에 이사회를 개최, 22일에 확정의사를 밝히겠다`고 부산지법 파산부에 통보했다.
이에따라 채권단과 르노가 지난 5일 우선협상기한을 15일 연장해 21일안에 파리에서 재개하기로 한 삼성차 매각 추가협상은 사실상 무산됐다.
채권단 관계자는 `우발채무 처리문제가 그동안 열렸던 채권단과 르노와의 매각협상에서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해왔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르노와 협상을 벌이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삼성물산측이 22일 법원에 어떤 내용의 조정안을 제출하는 지를 일단 지켜볼 계획`이라면서 `이번주안에 르노측과 우선협상기한 연장 여부와 향후 협상 일정 등을 협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따라 삼성차 매각은 채권단과 삼성물산간에 극적인 타협이 이뤄지지 않는 한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삼성차 우발채무는 삼성차가 지난 98년 6월 삼성물산 소유 정비공장과 판매시설을 인수했으나 삼성물산에 계약금 60억원외에 원금과 이자 등 2천912억원을 지급하지 않아 발생했는데 특히 삼성차와 삼성물산간에 소유권 이전 등기 절차가 이뤄지지 않아 이 대금은 `공익채권`으로 분류돼 최우선적 채무에 해당된다.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