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보험 관련단체의 통합작업을 추진키로 하고 외부에 용역을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 용역 결과가 나오면 올해 안에 통합 방법에 대한 결론을 내릴 계획이다.
이는 그동안 ‘설’로만 여겨졌던 보험유관단체 통합이 가시화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보험관련 단체가 너무 많고 각 단체들의 업무영역이 점차 줄어들고 있으므로 통합이 불가피하다는 측과, 서로 업무영역이 다른 만큼 통합이 능사는 아니다는 반대 의견이 팽팽히 맞서왔다.
일단 보험업계는 분담금 등 비용이 절감된다는 차원에서 단체 통합에 찬성하는 분위기이다. 단체별로 업무영역이 축소되고 있음에도 이를 유지하는 것은 업계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합리적인 일처리를 방해한다는 것.
화보협회의 경우 화재보험 풀이 해체되면서 업무영역이 방재교육 등에 그치고 있고, 보험개발원도 가격자유화로 기존의 요율산출기관으로서의 역할이 축소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양협회도 규제완화 정책 등으로 예전보다는 업무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무리한 통합은 후유증을 동반할 것이라는 측면에서 신중히 고려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통합’이라는 대명제에만 매달려 불합리한 방식으로 통합이 이뤄질 경우 소속원들의 반발을 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자칫하면 통합 후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관련 금감원도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외부에 용역을 의뢰한 것도 바로 이를 우려한데 따른 것이며 용역결과에 따라 통합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유동적인 반응을 보였다.
반면 당사자들인 관련 단체 소속원들은 의견이 분분하다. 대다수는 통합과정에서 인원수가 줄어들 것이고, 그렇게 되면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는 측면에서 강력히 반발하고 있으나 일부는 통합은 대세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문제는 투명성. 금감원 통합과정에서 드러났듯이 기관간 통합은 진통을 겪기 마련이므로 합리적이고 투명한 방법이 필수적이지만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비용절감’과 ‘합리적인 업무처리’라는 명분 앞에 보험관련 단체들의 통합이 이뤄질 수 있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성희 기자 shfree@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