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빛은행이 재무기획담당 이수길 부행장을 선임한데 이어 뉴브리지가 인수한 제일은행은 정광우상무를 부행장으로 임명했다. 이에 앞서 대구은행도 이번 정기주총에서 부행장제를 도입했다.
국민은행도 이번 주총에서 부행장제를 도입하기 위해 최근 정관 변경을 마쳤다. 외환은행도 이번에 사업본부간 업무를 조정 통제하는 부행장제를 도입키로 방침을 정했다.
6일 금융계에 따르면 주택, 조흥은행처럼 단순히 대외명칭만 부행장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행장 다음 ‘2번’으로서의 지위와 위상, 역할을 맡는 부행장제 도입이 은행들에 확산되고 있다. 이는 지난해부터 시행하고 있는 사업부제가 갖는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측면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제일은행의 경우 정광우상무를 부행장겸 영업담당 본부장(CBO)으로 임명, 일선 영업을 총괄토록 하되 대외행사 등에서 외국인인 호리에 행장을 대신할 수 있도록 했다. 뉴브리지가 鄭부행장을 선임한 것은 이외에도 외국계은행이 된 이후 일반 직원들이 느끼고 있는 소외감과 허탈감을 덜어주기 위한 포석이라는 측면도 강하다는 분석이다.
송달호행장 사퇴로 후임 행장 선임을 벌이고 있는 국민은행의 경우 과거처럼 부행장이 있어 후계구도가 명확했다면 지금처럼 외부인이 쉽게 은행장 자리를 넘보지 않았을 것이라고 판단, 이번 주총에서 부행장을 선임하기로 했다.
아울러 국민은행은 부행장도 경영전략본부등 사업본부장의 기능을 맡도로 하되 사업부서간 이견이나 마찰이 생길 경우 조정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기로 했다. 또 행내 각종 위원회 조직을 은행장을 대신해 이끌어가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외환은행은 이번 주총에서 조흥 주택은행처럼 등기이사들에 대해서는 호칭을 부행장으로 바꾸되 이중 1명을 수석부행장으로 임명, 사업본부간 조정과 통제기능을 담당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