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증권이 1월까지 한시적으로 0.03%를 떼고 있고, 부국증권은 아예 0.08%로 0.1%의 큰 벽을 허물었다.
이같은 사이버 수수료의 인하는 각 증권사가 처한 상황에 따라 편차가 심하다. ‘0.1%’라는 큰 줄기가 유지되고 있지만, 사이버 고객수가 목표치에 다다른 증권사의 경우 이미 추가적인 수수료 인하도 가능하다는 입장을 조심스럽게 밝히고 있다.
사이버 고객의 특성상 회전율이 높은 것이 수수료 자체는 낮지만 손해는 보지않는 상황을 연출하고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생각만큼 고객을 확보하지 못한 증권사는 새 흐름에서 밀려나지 않기 위해 다소의 손해도 감수해야 하는 상황. 여전히 ‘그렇게까지 해야 하는가’라는 의심속에 수수료 인하의 압력은 더욱 거세지고 있는 모습이다.
최근엔 위탁부문 수수료 인하도 공공연하게 떠돌고 있다. 일부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증권사 수수료에 대해 조사에 나선 것도 수수료 인하에 따른 업계내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수순으로 이해하는 분위기다.
공정위가 어떤 형태든 증권사의 수수료에 대해 ‘담합’ 결정을 내려주면 각사들은 경쟁사들의 눈총을 의식하지 않고도 여건에 따라 수수료를 인하할 수 있다.
물론 수수료 인하가 중장기적으로 어떤 효과를 가져올지는 두고 봐야 하지만, 증권사들의 경쟁은 이미 ‘위탁수수료 0.5%’라는 큰 강을 넘어 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대우채 문제 등에서 비교적 타격이 적었던 동원과 굿모닝등 중후발사의 공격적 수수료 전략이 현실화될 수 있을지, 이에 대한 대형사들의 반응은 어떨지 주목받고 있다.
김병수 기자 bskim@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