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시중 은행들은 비상임이사들이 개별 경영사안에 대해 일일이 간섭하기 보다 경영목표등 큰 사안에 대해 방향을 제시하는 식으로 운영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13일 금융당국 및 금융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시행 1년째를 맞고 있는 비상임이사 중심의 은행 이사회제도에 대한 전면적인 수정 보완작업에 나서 지난주말까지 시중은행 및 지방은행들로부터 설문서를 받은데 이어 금주에는 은행장들과 면담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주요 시중은행들은 지난주 금융연구원에 제출한 설문서 답변을 통해 CEO와 체어맨의 분리로 이사회 운영 결과 여러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사회 안건상정은 주로 의장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은행 경영을 모르는 경우가 많아 제대로 안된다는 지적이다.
또 현실적으로 은행장과 의장의 역할 분담이 모호해 인사, 여신등에서 중복적으로 결제를 받는가 하면 최고위층간의 갈등으로 아랫직원들이 양쪽의 눈치를 봐야하는 경우까지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상임이사나 이사대우 인사를 놓고 현행 이사회 규정상 은행장이 추천하면 이사회가 승인토록 돼 있으나 이로인해 임원 인사권이 분산되고 조직관리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또 사업부제 도입이나 비상임이사 중심의 이사회 운영은 빠른 의사결정을 통해 스피드 경영이 가능토록 하자는 취지임에도 비상임이사들이 인사 점포 영업 여신등 건건이 경영에 간섭함으로써 경영 비효율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교수, 회계사 변호사등 경영마인드가 부족한 관변인사 중심으로 이사회가 운영되고, 한번 선임되면 임기때까지 능력이나 자질에 관계없이 자리를 지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비상임이사 선임에서 배제돼야 하고 개별 은행 이사회 스스로 인선위원회를 만들어 매년 부적격자를 퇴출시키고 새로운 인물로 충원하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