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삭감된 상여금의 지급을 요구하며 지난 2월 시작된 노사간의 갈등은 회사측이 이문제와 관련,사내 전산망을 폐쇄시킨 사건에 관계한 것으로 알려진 임원들의 퇴진을 검토하면서 진정되는 듯 했다.
그러나 금감위가 4일부터 시작된 특감기간중에는 임원이 퇴직할 수 없다고 못박음으로써 노-사간의 갈등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회사측은 특감이 끝난후 부실생보사로 지정되고 공적자금이 투입되면 새로운 관리인이 선정되는 만큼 자연스럽게 임원들의 퇴직이 이루어 질 것이라고 밝히고 있는 반면 노조측은 상여금 문제와 관련해 자신들을 비난하는 글이 실렸다는 이유로 전산망을 폐쇄시켰던 일부 고위간부들의 즉각적인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더욱이 노조측은 지난해 결정된 상여금 삭감이 일부 부장급들의 모임에서 임의로 결정돼 전직원에게 동의서를 강제로 요구해 행해졌던 일인만큼 삭감된 상여금을 돌려받아야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어 회사측과의 감정대립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회사측은 금감위의 허가를 요청했으나 금감위측은 공적자금을 투입해 반납한 상여금을 되돌려주는 것은 나쁜 선례가 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허가하지 않았다.
이같은 금감위의 결정에 노조측은 크게 반발하며 찬반투표를 거쳐 쟁의에 돌입했고, 법적대응도 불사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한편, 한덕생명 관계자는 노조측의 이러한 행동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임원의 퇴진문제는 법적으로 불가능한 만큼 노조측의 `즉시퇴진` 주장은 억지일뿐이며, 상여급 반납문제도 이미 노조측이 포기를 선언한 문제라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오히려 노조측은 작년에 사용하지 않았던 월차휴가에 대한 수당지급을 주장하고 있으며 마감기간과 관련해 영업관행의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일환 기자 j-the-fire@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