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태평양생명의 경우 정부의 매각방침 발표이후 신계약이 20%가량 위축돼 매달 보유계약자가 1,000명 가량 감소하고 있고, 두원의 경우는 신계약이 무려 50%이상 줄어드는 등 극심한 영업부진에 시달리고 있다.
IMF이후 생보업계 전체가 불황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일부 매각 대상사들의 영업위축은 정부에게 상당한 책임이 있다는 것이 업계의 견해다.
매각 대상사들이 더욱 불만을 터뜨리고 있는 부분은 직원들의 사기저하. 매각 발표초기에 크게 흔들렸던 조직이 최근 다소 안정을 찾는 분위기지만 이는 매각협상이 장기화되면서 생겨난 일시적인 현상일뿐 이미 자포자기상태에 빠져있다는 것이 업계의 전언이다.
인수의사를 가진 업체가 나타나지 않은 곳은 물론이고, 매각협상이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는 태평양과 조선생명의 경우에도 P&A방식으로 매각될 경우 고용문제등 심각한 후유증을 우려하고 있다. 한편 정부의 매각방침 발표후 10개월이 지나도록 구체적인 진전을 보지 못하자 자체적으로 외자 도입이나 매각을 추진중이었던 일부업체들은 정부의 성급한 매각방침 발표를 다시한번 성토하고 있다.
이들은 명확치 않은 기준을 내세워 내용상 큰 차이가 없는 보험사들을 부실과 비부실로 나눠 매각대상에 올린 것부터가 이해하기 힘들다고 말한다. 더구나 외자유치나 매각을 지원해야할 정부가 "이 회사는 부실사"라는 낙인을 찍음으로써 협상이 결렬되는 등 오히려 구조조정의 걸림돌이 됐다는 지적이다.
생보업계관계자는 "자체적으로 외자도입이나 매각을 추진중이었던 일부 부실사의 경우 조금만 더 시간을 줬더라면 좋은 성과를 거둘 수도 있었을 것"이라며 정부의 부실사 발표가 `판을 깨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주장했다.
정일환 기자 j-the-fire@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