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대우증권 인수 과정에서 대우증권 매각자금의 용도를 두고 채권단과 대우그룹이 상당한 시각차를 보여 인수작업에 난항을 겪고 있다.
26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감위는 채권단 인수후 대우증권의 경영구도와 관련 상당수 기존 임원을 퇴진시킨뒤 사장을 내부에서 승진 발탁하고 회장은 외부인사를 영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사장의 경우 50세 전후의 임원이 승진될 것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회장은 배찬병 전 상업은행장을 비롯 외부인사를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금감위는 또 기존 임원중 2~3명 정도를 제외하고 상당수 임원을 퇴진시키는 방안을 고려중이다. 금감위는 채권단의 인수작업이 완료되는 대로 이같은 경영구도를 가시화할 계획이다.
그러나 지난주부터 본격화되고 있는 인수작업은 채권단과 대우그룹의 시각차가 커 난항을 겪고 있다. 채권단과 대우그룹은 각각 주식인수도 계약서를 작성했으나 대우증권 매각자금의 용도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우그룹은 대우증권 매각자금으로 최소 1조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중 대우증권이 그룹에 제공한 연계콜 7천4백억원을 제외한 2천6백억원을 우선 지급해 대우그룹계열사들이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비해 채권단은 매각자금에 대한 용도를 계약서에 명시하지 않고 나중에 채권단이 알아서 결정하겠다는 방침이어서 제3자인수후 발생하는 매매차익을 대우그룹에 제공된 채권단의 엑스포저를 회수하는데 사용할 것으로 받아들여져 대우그룹이나 매각자금으로 대우증권이 그룹에 제공한 연계콜을 우선 해소해줄 것을 바라고 있는 대우증권과 시각차를 보이고 있다.
한편 최근 대우증권의 인수 가능성을 타진하는 외국계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외국계들은 대우증권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는등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나서지는 않고 있다.
박호식 기자 park@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