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정부당국 및 금융계에 따르면 HSBC가 서울은행에 대한 실사를 기초로 금감위에 요구한 매각협상 관련 내용중에는 기존 서울지점 폐쇄에 따른 영업권 보상 요구가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HSBC측은 지난해 7백20억원의 당기순익을 올린 국내 지점들을 서울은행 인수를 계기로 폐쇄하거나 합병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대한 보상을 우리정부에 요구하고 있다는 것.
HSBC는 서울지점들의 수익가치, 순자산가치 등을 분석, 무려 7억달러(8천4백억원)정도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관계자는 "협상 타결후 서울은행의 BIS 자기자본비율을 10% 수준으로 맞추려면 1조2천억원 정도의 자본금 확충이 필요하고 이를 지분률(우리정부 30%, HSBC 70%)에 따라 양측이 나눌 경우 HSBC의 부담이 8천4백억원 정도에 이르는데, 결국 HSBC 주장에 따를 경우 서울은행 매각후 경영정상화에 필요한 출자금을 우리정부가 전액 떠안아야 할 형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대해 우리측은 터무니 없는 주장이라며 HSBC의 저의가 궁금하다는 반응이다. 서울은행 인수로 기존 점포들을 폐쇄하거나 합병한다 해서 그 책임이 우리정부측에 있다는 논리를 우선 이해할 수 없고, IMF라는 특수상황에서 시현한 이익을 근거로 영업권을 계산하는 것도 문제라는 것. HSBC는 97년에는 1백90억원의 이익을 시현한 바 있다. 이밖에도 HSBC가 서울은행 인수에 대한 대가(지참금, 영업권)로 겨우 2억달러만을 지급하기로 했으면서 자신들의 점포 폐쇄에 따른 영업권 보상으로는 7억달러를 요구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중론이다.
한편 HSBC는 이밖에 서울은행 인력감축과 관련해서도 본계약 체결전에 우리정부가 책임지고 정리해 주길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HSBC는 그동안 공식적으로는 인력감축이 없을 것이라고 말해왔으나 서울은행의 특화업무로 자타가 인정하는 증권대행업무(커스터디)까지 포기하기로 입장을 정리한 사실 등이 알려지면서 서울은행 안팎에서는 현재 인력의 30%정도까지 감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박종면 기자 myun@kf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