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은 서울 명동역 부근 ‘라이프워크 도깨비마트’내부 CJ 제일제당 비비고 브랜드존. /사진=손원태기자

CJ 제일제당은 자회사 CJ 대한통운 포함 지난해 매출이 29조235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30조795억원)보다 3.5% 감소한 수치다. 영업이익도 전년(1조6647억원) 대비 22.4% 하락한 1조2916억원을 기록했다. CJ 제일제당은 앞서 지난해 매출 30조를 돌파하면서 최대 실적을 냈다. 2011년 CJ 대한통운 인수 후 11년 만이었다.
구체적으로 CJ 제일제당은 지난해 4분기 기준 식품, 바이오, 사료, 축산 등 전 사업에서 부진했다. 식품에서 국내 매출은 전년(1조4269억원)보다 3% 떨어진 1조3800억원을, 해외 매출은 전년(1조4057억원)보다 1% 하락한 1조3866억원을 보였다. 특히 내수 침체 현상이 장기화하면서 국내 매출이 해외 매출에 처음 뒤처졌다. 다만, 햇반과 만두 등 주력 제품 판매량은 꾸준히 증가해 영업이익은 87% 반등했다. 여기에 미국 식품기업인 슈완스 인수 후 미국 냉동피자 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프랑스, 스웨덴, 호주 등 서구권 수출 다변화도 일궜다.

지난해 4분기 CJ 제일제당 국내, 해외 식품 부문 매출. /사진=CJ 제일제당 IR자료
CJ 제일제당 자회사인 CJ 대한통운도 지난해 매출이 11조7679억원으로, 전년(12조1307억원) 대비 3% 떨어졌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4802억원으로, 전년(4118억원)보다 오히려 16.6% 증가했다. 글로벌 교역량 감소로 매출은 역성장을 그렸으나 미국, 인도 등 전략 국가에서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또한, 국내에서 택배·이커머스 도착 보장 서비스, 패션·뷰티 버티컬 커머스 물량 확대 등이 수익성을 높였다.
CJ 제일제당은 올해도 작년처럼 식품 트렌드를 주도하겠다는 전략이다. 신제품 ‘소바바 치킨’, ‘통새우 만두’ 등이 소비자들에 입소문을 타면서 매출을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커머스, 온라인 플랫폼과 같은 DTC(Direct To Consumer) 매출 규모도 전사적으로 키운다. 해외에서는 주력 시장인 미국에서 피자, 만두 점유율을 높이고, 유럽과 호주 등 수출 다변화에도 힘쓸 예정이다. 바이오에서도 수익성이 높은 스페셜티 품목을 지속 확대한다. 사료, 축산 사업에서는 축산물 가공·유통 등 고부가가치 '밸류체인' 비중을 점차 늘려나간다.
하지만, CJ 제일제당의 높은 차입금은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다. CJ 대한통운 제외 지난해 4분기 CJ 제일제당의 단기차입금은 7조251억원이다. 전년(6조7425억원) 대비 4.2% 불어났다. 인건비, 운반비, 판매촉진비, 광고비 등 판관비를 대대적으로 감축했지만 역부족이었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CJ 제일제당 판관비는 전년(1조2946억원)보다 12.6% 감소한 1조1318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CJ 제일제당은 지난달 차입금 상환을 위해 40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하기로 했다.

CJ 제일제당 최은석 대표. /사진=CJ 제일제당
새해를 넘겨 설 연휴도 지났지만, CJ 그룹의 정기 임원인사는 아직 깜깜무소식이다. 이런 가운데 이재현닫기

손원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tellm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