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파오는 리뉴얼에 나서는 와중에도 기존 '착한 가격'을 그대로 끌고 가는 모습이다. 오히려 이런 착한 가격을 전 세대가 누릴 수 있도록 전면에 내세웠다. 사진은 서울의 한 스파오 매장. /사진=손원태기자
스파오는 2009년 이랜드월드가 론칭한 국내 패션 SPA브랜드다. 이랜드월드는 스파오의 패션 기획부터 생산, 운영 등을 직접 관리한다. 비교적 가격 부담이 덜한 브랜드로 입소문을 타면서 국민 브랜드로 거듭났다. 현재 전국 108개 매장이 운영 중이며, 지난해 연매출 4000억원을 달성했다. 올해 예상 매출액은 4800억원으로 추산된다. 최근에는 400평 규모의 영등포 타임스퀘어점을 전면 리뉴얼하면서 브랜드 타깃층을 기존 20대에서 전 연령대로 확대했다.
그러면서 스파오는 기존 '착한 가격'을 그대로 끌고 가는 모습이다. 오히려 이런 착한 가격을 전 세대가 누릴 수 있도록 전면에 내세웠다. 예컨대 남성캐주얼, 여성캐주얼, 남성포멀, 여성포멀 등 성별이나 감도로 세분화한 조닝을 통합 및 재배치해 전 상품을 둘러볼 수 있도록 고안했다. 여기에 올해에도 주요 상품 가격을 인하하거나 동결해 소비자들의 시선을 묶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리뉴얼한 스파오 타임스퀘어점은 스파오의 브랜드 철학을 압축했다. 30대 이상 방문 비중이 20% 이상 늘었고, 매출도 전월 대비 300% 성장했다. 스파오는 코엑스점과 강남점 등도 매장 리뉴얼을 서두른다는 계획이다.

스파오는 리뉴얼에 나서는 와중에도 기존 '착한 가격'을 그대로 끌고 가는 모습이다. 오히려 이런 착한 가격을 전 세대가 누릴 수 있도록 전면에 내세웠다. 사진은 서울의 한 스파오 매장. /사진=손원태기자
스파오는 “전 연령대가 ‘착한 가격’으로 누리는 브랜드의 고객 가치를 전 세계인들에게 전해 글로벌 브랜드로 도약하겠다”라고 했다.
아울러 스파오는 소재 통합, 스타일 수 축소 등을 통해 핵심 상품에 집중하는 전략을 펼쳤다. 2021년부터 시즌마다 스타일 수를 20%씩 줄이고, 소재 통합으로 원가율을 낮춰 해외 공장과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맺었다. 핵심 상품에 집중해 공장 생산 효율을 높이고, 이를 브랜드의 수익성 제고로 연결하겠다는 구상이다. 스파오는 이를 토대로 ‘착한 가격’ 캠페인을 벌이는 등 마케팅도 적극적이었다. 실제로 스파오는 올해 ‘웜테크(발열 내의)’ 가격을 1만5900원에서 1만2900원으로 내렸다. 스테디셀러 제품인 푸퍼와 플리스 등 가격은 각 6만9900원과 2만9900원으로 작년처럼 동결했다. 스파오는 이러한 브랜드의 기조로, 미얀마 현지 공장 담당자와 끝장 토론을 벌여 설득했다.
이에 스파오의 웜테크는 올해 1월부터 11월 중순까지 매출이 전년 대비 5배나 올랐다. 전체 겨울 의류도 올해 누적 매출이 전년보다 15% 이상 성장세를 보였으며, 경량 패딩 등 라이트재킷도 올해 누적 매출이 전년보다 540%나 뛰었다.

스파오는 리뉴얼에 나서는 와중에도 기존 '착한 가격'을 그대로 끌고 가는 모습이다. 오히려 이런 착한 가격을 전 세대가 누릴 수 있도록 전면에 내세웠다. 사진은 서울의 한 스파오 매장. /사진=손원태기자
스파오는 “치솟는 물가로 힘들어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원가 혁신을 지속해서 이뤄가겠다”라며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기획하고 디자인해 현지 소싱으로 높은 퀄리티의 원부자재를 수급하고 자체 생산공장을 활용해 좋은 품질의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