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는 "IMF의 조기지원 확정 시 아르헨티나의 시장불안은 다소 완화될 수 있으나 경제취약성과 함께 정치권 비리 스캔들도 부각되고 있어 투자심리가 단기내 회복되기는 어려울 수 있다"면서 이같이 진단했다.
센터의 박미정 연구원은 "물가와 조달비용 급등으로 금년 경기침체가 불가피해지면서 IMF의 구제금융 합의에도 페소화 절하와 채무불이행 우려가 지속됐다"면서 "금년 페소화 가치 하락으로 소비자 물가가 연초 26%에서 7월 31%로 상승하고 4월 이후 네차례에 걸친 정책금리(45%) 인상으로 조달비용이 급등했다"고 지적했다.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페소화 방어를 위해 지난 4월말 연속적 정책금리 인상(27.25%→30.25%→ 33.25%→ 40.0%) 이후 최근 터키발 금융불안이 확산되자 8/13일 500bp 추가 인상 단행했다.
가파른 금리인상으로 가계 및 기업들의 자금조달난이 심화되고 투자 및 소비지출이 급속히 위축됐다.
경상적자(GDP대비 -3.6%), 재정적자(-6.5%)와 함께 극심한 가뭄 등으로 2016년(-1.8%)에 이어 2년만에 경기침체 재진입 가능성이 점증했다.
6월 경제활동지수(-6.7%, y/y)와 산업생산(-8.1%)이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둔화되는 등 경기지표가 급속히 악화됐다.
최근 Duhovne 재무장관은 금년 경제성장률을 -1.0%로 하향전망한다고 밝혔다.
박 연구원은 "현 상황에서 환율상승이 지속되면서 단기외채 상환 여력에 대한 시장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단기외채가 외환보유액을 상회(140%, 2017년)하는 가운데 이 중 외화표시 비중이 약 87%($675억)를 차지한다.
단기채권 차환 부담에 따른 미스매치 우려 속에 마크리 대통령은 금번 요청이 자국 정부의 자금조달 능력에 대한 신뢰저하와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한 결정임을 강조했다.
아르헨티나가 IMF와 합의한 $500억 규모의 구제금융 조기집행을 요청하면서 페소화 가치 사상최저치 재경신했다.
마크리 대통령은 자국의 환율불안과 채무불이행 우려 등을 잠재우기 위해 IMF 차관 잔여금의 조기집행을 요청한다고 발표(현지시각 8/29일)했다.
이에대해 IMF는 잔여금에 대한 지급시기를 검토할 예정이며 예상보다 악화된 국제금융시장에서 아르헨티나를 보호하기 위해 통화 및 재정정책 강화 등 경제계획 수정에 중점을 둘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5월 8일 아르헨티나 정부의 공식적인 구제금융지원 요청으로 IMF는 6월 20일 $500억 규모의 대기성 차관(Stand-by Arrangement)을 승인하고 1차로 $150억를 지원했다.
잔여금은 환율 방어 등을 위한 예비자금으로 분기별 점검을 통해 지급여부를 결정키로 했다. 이 소식으로 페소화(달러화 대비 33.9680)는 전일대비 7.9% 급락(2015년 이래 최대폭)하여 7영업일 연속 사상최저치 경신(연초대비 -45.2%)을 이어갔다. CDS 프리미엄은 656.2bp(+43.7bp)로 2015년 5월 이후 최대치로 확대됐다.
주가는 연초대비 15.5% 하락. 국채금리(10yr)는 10bp 상승한 9.9%로 사상최고치에 근접했다.
외환보유액은 6월 IMF의 1차 구제금융 이후 $633억으로 확충됐으나 외환시장 개입이 지속되면서 8월 현재 $543억으로 14% 축소됐다.
박미정 연구원은 "아르헨티나의 구제금융 조기집행 요청은 내년까지 추가적인 채권 발행없이 충분한 자금을 확보해 투자자들을 안심시키려는 당국의 의도이나 시장에서는 페소화에 대한 신뢰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란 평가가 나온다"고 설명했다.
그는 "IMF 자금의 조기집행은 채권발행과 롤오버 리스크 완화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대통령의 TV 연설을 통한 발표가 오히려 시장에 불안감을 조성한 측면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고 밝혔다.
아르헨티나의 지급능력보다는 유동성이 극히 부족한 상황에서 유동성 경색이 지속될 경우 디폴트 상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진단도 제기된다.
페소화 급락이 투기적 공격의 결과인지 국내 가계 및 기업부문의 달러화 수요 때문인지는 불분명하나 현재 마크리 정부의 정책 방향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진단도 제기됐다.
박 연구원은 "경제 지표가 개선되지 않는 한 페소화가 크게 회복되기는 어려운 상황에서 환율 안정을 위한 뚜렷한 방안이 미미하다는 평가도 나온다"면서 "아르헨티나와 터키의 경제, 정치적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 금리인상, G2 무역갈등 등 대외불안 요소가 지속되고 있어 여타 신흥국의 추가불안 가능성을 지속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