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서울시.
서울시는 22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공적임대주택 5개년 공급계획’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5년간 국비와 시비 5조3074억원이 투입되고, 시민들의 자금을 펀드로 조성한 돈 2조원도 들인다.
서울시가 공급하겠다고 발표한 24만호는 지난 6년간(2012~2017년) 공급된 임대주택 물량(14만호)의 두 배에 달한다. 특히 대학생, 신혼부부 등 20~30대 청년층의 주거불안 해소에 주안점을 뒀다.
공공지원주택은 총 12만가구가 공급된다. 우선 핵심사업인 역세권 청년주택의 사업기간을 당초 내년까지로 잡았던 것에서 3년 더 늘리고, 총 공급 물량도 기존 목표의 5만호에서 8만호로 확대했다. 2016년부터 사업이 추진돼 올해 하반기 첫 입주자 모집을 시작하는 등 구체적 성과가 나타날 전망이다.
공공임대주택은 건설형 2만1827호, 매입형 4만5330호, 임차형 5만호 등이 공급된다. 특히 도심지 주택공급을 위해 동작구 등에 공유재산 복합화를 통한 지역맞춤형 개발이 추진된다. 이를 통해 주거복지의 주요 지표인 공공임대주택 재고율을 현재의 7.4%에서 9%대로 끌어올려, OECD 평균(8%)보다 높이는 것이 목표다. 또 올해부터 5년 동안 2조원 규모의 ‘시민펀드’를 조성해 임대주택 사업 재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시중의 유동자금을 흡수ㆍ활용할 계획이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부동산 시장이 불안정한 요즘이야말로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임대주택 공급 확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며 “특히 올해부터 시민들이 참여하는 시민펀드를 조성하여 유동자금이 부동산 투자보다는 임대주택 공급에 흡수되어 집값 안정에 다소나마 기여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