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7년도 상반기 벤처투자 동향’를 3일 발표했다.
투자 현황을 살펴보면 업력 7년 이내 창업기업 투자는 전년동기대비 4.3%포인트 증가한 77.3%로 창업기업 투자가 증가하고 있었다. 특히 49.9%가 업력 3년 이내의 창업초기기업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13년부터 조성한 창업초기기업 투자펀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3년 이내 창업초기기업과 창업 3~7년 기업에 대한 투자 금액은 각각 3698억 원(37.3%)과 2928억 원(29.5%)을 기록, 각각 전년 동기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업종별로는 ICT서비스(21%)가 가장 많았으며, 유통서비스가(15.7%), 바이오․의료(15.5%), 영상․공연․음반(13.3%)이 그 뒤를 이었다.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핀테크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력을 토대로 한 ICT 융합 업종에 대한 투자가 보다 활발해진 반면, 바이오 분야는 한미약품 사태이후 상장기업들의 성적이 부진하여, 벤처투자 시장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벤처펀드 신규 결성액은 1조4163억 원(56개)으로 전년 동기(1조7530억원) 대비 19.2%(3367억원) 감소하였으나, 이는 추경 소식이 전해진 후 펀드 결성을 보류함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역대 최대 규모인 모태펀드 추경 예산 8000억 원이 편성됨에 따라, 약1조3000억원의 벤처펀드가 추가로 조성되는 등 하반기에는 벤처펀드 조성이 대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상반기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한 창업투자회사는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로 상반기에만 530억원을 투자하였으며, 가장 큰 펀드를 결성한 회사는 소프트뱅크벤처스로 121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