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우조선 구조조정 추진현황을 기자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 사진제공= 금융위원회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우조선 긴급 브리핑에서 임종룡 위원장은 "현재 대우조선 노조, 시중은행은 합의는 완료됐다"며 "자율적 구조조정의 성패는 사실상 17~18일 사채권자 집회에서 결정되므로 산업은행 등은 최선을 다해 사채권자 설득중"이라고 밝혔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16일 오전 기관투자자 등에게 '회사채 및 CP 상환을 위한 이행 확약서'를 전달했다.
구체적으로 잔여채권의 각 상환기일 전월 말에 다음 상환기일에 상환할 원리금 전액을 별도 애스크로 계좌(Escrow Account)에 예치하고, 대우조선은 회사 명의 별도 계좌에 회사채 및 CP의 청산가치(6.6%)인 약 1000억원을 입금하고 회사채, CP 투자자에게 담보로 제공하는 내용 등이다. 향후 일부 투자자가 우려하는 청산 등이 발생하더라도 현 시점의 청산가치 이상을 보장한다.
또 잔여채권의 최종 상환기일까지 신규자금 지원의 기한을 유지하고, 신규자금 중 미사용분으로 잔여채권 상환 가능하다. 오는 2018년부터 매년 실사해서 회사가 상환능력이 있다고 확인되는 경우, 유예기간과 상환기간 단축, 분할상환 원금 조정 등 잔여채권의 조기상환도 추진한다는 내용이다.
임종룡 위원장은 "최근 일부 기관투자자가 채무조정에 동의한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으나, 여전히 대부분의 기관투자자가 유보적 입장 견지하고 있다"며 "국민연금 역시 관리자로써 손실 최소화 위해 할 수 있는 일이고, 산은, 수은 역시 불확실성 줄일 수 있는 자율적 구조조정을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만약 이틀간 열리는 사채권자 집회 다섯 차례 중 한 차례라도 부결되면 대우조선은 워크아웃과 법정관리를 결합한 P플랜(Pre-Packaged Plan·사전회생계획제도) 돌입이 불가피하다.
사채권자 집회 부결시 시장불안을 신속히 해소하기 위해 대우조선은 최대한 빠른 시간내 P플랜을 신청할 계획이다. 임종룡 위원장은 "정부는 P플랜 발생 가능한 선박건조계약 취소, 실업문제 등 각종 부작용에 대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종합대응방안 발표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