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2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시장친화적 구조조정 활성화 방안 세미나에 참석해 축사를 했다. / 사진= 금융위원회

이날 오후 한국금융연구원 주최로 은행회관에서 열린 '시장친화적 기업구조조정 활성화 방안 세미나'에서 임종룡 위원장은 축사로 "상시적, 시장친화적 구조조정"을 강조하며 이같이 밝혔다.
임종룡 위원장은 "우리나라 은행은 새로운 수익원의 부재로 인해 영업수익이 정체되어 있는 가운데 계속 증가하고 있는 비용 구조로 인해 대손충당금 적립규모가 단기 손익을 좌우하고 있다"며 "단기적인 경영실적 악화를 우려해 한계기업에 대한 적극적 구조조정을 미루고 있는 것은 아닌 지 채권은행 스스로 돌아보아야 한다"고 꼬집었다.
앞으로는 채권은행이 온정적, 소극적 신용위험평가 관행에서 벗어나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적극적으로 구조조정 대상 기업을 선정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임종룡 위원장은 "구조조정 추진 단계에서도 채권은행 차원에서 효과적인 워크아웃 추진이 곤란한 기업에 대해서는 신속히 시장에 매각해야 한다"며 "구조조정에 묶여 있는 은행의 인적, 물적 자원을 보다 생산적인 분야에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른 구조조정 플레이어인 자본시장의 경우 "새로운 구조조정 담당자이자 투자자" 역할이 꼽혔다. 임종룡 위원장은 "인수합병(M&A) 시장의 투자 전략에서 나아가 구조조정 대상 기업을 새로운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탈바꿈시켜 부가가치를 높이겠다는 진취적인 자세"를 강조했다.
또 기업에겐 "구조조정 시장의 수요자로 새로운 구조조정의 틀을 적극 활용할 것"과 "구조조정은 기업을 살리는 것이 원칙으로 적극적인 신규자금을 투입할 것"을 제시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는 구정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주제 발표를 맡았으며 "신용위험평가 기준의 객관성·합리성 제고", "구조조정채권의 적기 매각 유도", "기업 구조조정 펀드 조성" 등 시장친화적 기업 구조조정 활성화 방안이 제시됐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