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과 애플은 특허 분쟁 시절 서로가 혁신적인 기능을 선보이면서 진화를 거듭했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이렇다 할 혁신의 사례가 나오지 않다보니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우위 경쟁은 사실상 끝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제 대중의 관심은 스마트폰 이후의 시장에서 삼성과 애플이 어떤 경쟁에 나서겠냐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시장이 주목하고 있는 양쪽의 대표적 경쟁 시장은 웨어러블 기기와 핀테크 시장이다. 이 중에서 웨어러블 기기 시장에서의 경쟁이 앞으로 더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과 애플은 각각 갤럭시 기어 시리즈와 애플 워치 시리즈를 선보이면서 세계 시장에서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두 기기는 똑같은 스마트워치이면서도 지향점이 다르다. 삼성 갤럭시 기어의 경우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의 연동성과 단일성을 강조하는 반면 애플 워치는 스마트폰과의 연동성 외에도 모바일 앱이 스마트워치 단품에서도 따로 기동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손목 위 ‘삼성페이’, 1위 올라서나
올 2분기 전세계 스마트워치 시장은 애플이 47%의 점유율로 독보적인 선두를 달렸고 2위는 16%로 삼성전자가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30%가 넘는 격차를 좁히기 위해 지난달 신작 스마트워치 기어S3를 공개했다.
삼성페이는 지난해 8월 출시된 모바일 결제 서비스로 글로벌시장 통합 1억건의 거래건수를 달성, 애플페이를 가뿐히 넘기며 모바일 결제시장의 강자로 떠올랐다. 삼성전자는 기어S3에 일반 카드결제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삼성페이를 탑재해 점유율 확대를 동시에 노린다는 전략이다. 스마트폰 없이 GPS, 스피커, 고도 및 기압, 속도계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첨단 센서를 탑재했으며 IP68 등급의 방수·방진을 지원한다. BMW와 협업해 자동차 연료 확인 및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사물인터넷(IoT) 기능도 강화됐다. 삼성전자 프리미엄 가전에도 탑재된 운영체제(OS) 타이젠을 탑재해 IoT 제어기능을 강화했다. 더불어 1만여개의 애플리케이션 이용이 가능하다. 기어S3의 가격은 50만원대로 전망되며 야외 활동성에 적합한 ‘프론티어’와 시계 자체에 초점을 맞춘 ‘클래식’ 등 2종으로 출시된다.
◇ ‘포켓몬 고’ 품은 애플워치2
올 2분기 전세계 160만대 판매량을 기록한 애플워치는 스마트워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로 1위 자리 유지를 노린다.
지난 7일(현지시간) 애플의 신제품 공개 이벤트에는 ‘포켓몬 고’ 개발사 나이앤틱의 존 행키 최고경영자(CEO)가 등장했다. 존 행키는 그간 포켓몬을 잡기 위해 휴대폰에 집중하는 보행자들로 안전문제가 논란이 된 점을 들어 애플워치용 앱을 쓰면 유저들이 주변 환경을 돌아보며 스마트워치로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스마트워치의 현재를 가늠할 수 있는 레퍼런스 제품답게 탑재된 성능도 우수하다. 터치의 강약을 인식할 수 있는 ‘포스터치’, 최고 50% 속도가 빨라진 듀얼 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했고, 새로운 그래픽처리장치(GPU)로 그래픽 성능이 2배 향상됐다. GPS와 심박센서로 위치 정보 이용, 운동 추적 기능이 강화됐으며 디스플레이도 2배 더 밝아졌다.
애플워치2는 총 4종으로 출시된다. 스테인레스 소재로 나이키와 협업한 ‘애플워치 나이키플러스’, 전작에 이어 에르메스와 합작한 ‘애플워치 에르메스’, 세라믹 소재 등이다. 가격은 369달러(약 40만7000원)부터 1249달러(약 137만7000원)까지 책정됐다.
오아름 기자 ajtwls070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