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은행연합회에 발표에 따르면 SC제일은행의 10년 이상 분할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금리가 6월에 진행된 경우 신용등급 1~2등급을 기준으로 연 2.62%까지 떨어졌다. 이는 정부의 안심전환대출의 금리 기준인 연 2.65%보다도 0.03%포인트 낮은 것이다.
다른 시중 은행들도 지난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반영되면서 연 2% 중반대로 대출금리를 기록하고 있다.
KEB하나은행의 1~2등급 기준 대출금리는 2.66%로 안심전환대출 금리와 불과 0.01% 차이다. 기업은행 2.72%, 한국씨티은행 2.75%, 신한은행 2.78%, 우리은행 2.81% 등 다른 주요은행들의 금리도 지난달보다 0.01~0.26%포인트 내린 상황이다.
문제는 작년 3월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31조원 규모의 안심전환대출로 갈아탄 일부 대출자들과 디딤돌이나 보금자리론 등 정책금융상품을 이용한 차주들에게는 지금같은 상황은 오히려 손해일 수도 있다.
안심전환대출은 정부가 가계 부채 연착륙을 위해 기존 주택담보대출 대상자를 고정금리로 갈아타도록 유인하기 위해 마련한 대책이다. 당시에는 시중금리보다 약 1.0%포인트 가까이 낮은 금리였기에 큰 호응을 얻었다.
그러나 이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차례 걸쳐 0.5%포인트 인하하고, 이에 따라 시장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안심전환대출 대출금리보다 더 싼 주택담보대출 상품들이 나왔다. 이런 저금리 기조가 계속되면 금리 역전 현상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의 예상에 따르면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를 더 내릴 가능성이 크다. NH투자증권은 오는 9월, SC제일은행은 10월, 노무라금융투자는 연내 두 차례 더 내릴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다만 시장 전문가에 따라 지금이 금리 바닥이다 아니다가 갈리는 만큼 대출자들은 대출 시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신윤철 기자 raindrea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