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증권사 애널리스트와의 간담회’에 참석한 금융위원회 이창용닫기

현재 상황은 외환위기와 다르며 금융시장 불안으로 경기 둔화가 있지만 외환위기 같은 국면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입장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9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평균 외화유동성비율은 100.5%로 지도비율인 85%를 상회하고 있는 수준. 외화유동성 비율은 만기 3개월 이내의 외화자산을 만기 3개월 이내 외화부채로 나눈 비율이다.
이 부위원장은 이어 “최근 중소기업 대출이 늘고 다소 연체율이 상승하는 모습이지만, 은행의 재무 건전성도 큰 문제가 없다”며 시중의 우려를 불식했다.
지난 3분기(7∼9월) 중소기업 대출 증가액은 3조9000억원으로 2분기(4∼6월) 6조5000억원에 비해 둔화됐다는 것.
이 부위원장은 특히 “예수금만 보면 예대율이 7월말 128%지만, 양도성예금증서(CD)와 은행채를 합쳐서 보면 87% 수준”이라며 “우리나라는 CD의 재약정률이 정기예금보다 높아 예수금적 특성이 강하다”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여한 신제윤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차관보)도 우려가 되는 외채 문제와 관련 “6월말 총외채는 4198억 달러지만 이 가운데 환헤지용 해외차입, 선박수출 선수금 등 상환부담이 없는 외채가 1518억달러”라며 “실제 상환부담이 있는 외채는 2680억달러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외채가 크게 늘어난 것은 주식시장에 투자된 외국인 자금이 채권시장으로 간 것으로 봐도 크게 틀리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환율방어용 외환 사용으로 불거지고 있는 ‘가용외환보유액 부족’ 논란에 대해서는 “9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2397억달러로 발표된 것은 전부 쓸 수 있는 것들”이라고 강조했다.
이 부위원장도 “외환보유액에서 패니매, 프레디맥 등에는 실질적으로 선순위채로 투자됐다”며 “시장에 사실과 다르게 알려져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대우증권 홍성국 리서치센터장, 한화증권 전병서 리서치본부장 등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및 이코노미스트 15명이 참석했다.
배동호 기자 dhb@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