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경제수석에는 거시경제와 금융·조세분야 이론과 실무를 두루 섭렵해 새 정부의 경제정책을 조언할 적임자로 꼽히고 있는 김중수 한림대 총장이 내정됐다.
새 정부의 미래전략을 구상하게 될 국정기획수석에는 이 당선자의 핵심정책 브레인 가운데 한명으로 꼽히는 곽승준 고려대 교수가 내정됐다. 민정수석엔 이 당선자의 서울시장 재임시절 법률고문을 맡았던 이종찬 전 서울고검장이 선임됐다.
막판까지 장고를 거듭한 것으로 전해진 정무수석엔 새 정부의 조직개편안 마련을 주도한 박재완 의원이 낙점됐다. 새 정부의 국정철학 전반을 잘 이해하고 있는데다 국회와 언론 등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부각된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과학문화수석엔 대입 자율화 방안과 영어 공교육 강화정책을 주도한 이주호 의원이, 외교안보수석엔 학계의 대표적인 미국통으로 꼽히는 김병국 고려대 교수가 각각 내정됐다.
사회정책수석엔 이 당선자의 서울시장 재임시절 서울복지재단 초대 대표이사를 지낸 박미석 숙명여대 교수가 깜짝 발탁됐다. 대변인엔 이동관 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대변인이 내정됐다.
이 당선자는 "여러 가지 기준이 있겠지만 능력있고 국가관이 투철한 사람들 특히 활기찬 젊은 층을 주로 선정했다"며 "베스트오브베스트(Best of Best)를 뽑았으며 조금 부족한 점이 있더라도 그렇게 되도록 하겠다"고 수석인선 배경을 밝혔다.
또 "정무수석의 경우 청와대와 내각, 국회 등과 잘 협력해야 하는 만큼 현 시점에서 역할이 중요하다"며 "새 정부의 업무를 다방면으로 잘 이해하고 있고 거부반응이 없는 부드러운 성품의 소유자를 선임했다"고 설명했다.
특임장관 선임과 관련해서는 "특임장관은 내각 소속인만큼 국회에서 협의중인 정부 조직개편안이 우선적으로 확정될 필요가 있다"며 "특임장관은 정무수석과 같이 그때그때마다 다양한 업무를 맡으며 리베로 역할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새 정부 각료인선은 정부조직개편안이 국회를 통과하는대로 발표될 예정이다.
박영준 당선자 비서실 총괄팀장은 "정부조직법이 국회를 통과하는 당일이나 다음날 새 정부의 내각 명단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데일리 제공>
관리자 기자 shmoo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