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견 건설업체 세창의 부도가 저축은행업계도 긴장시키고 있다
감독당국은 피해저축은행이 있는지 서둘러 조사를 시작했고, 업계도 자칫 부동산PF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까 촉각을 세우고 있다. 이번이 지방 건설사 연쇄부도 사태의 신호탄이라 여겨지고 있어 업계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 세창부도…드러난 것만 60억 손실
지난달 30일 세창건설의 부도가 발생하자 금융감독원은 서둘러 피해를 입은 저축은행이 있는지 조사를 벌였다.
조사결과 현재까지 드러난 피해액만 60억원. 서울의 진흥저축은행 등 몇몇 업체가 피해를 입었고 특히 한 저축은행의 경우는 그 규모가 4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세창의 부도가 나기 하루전인 29일에도 상당수의 저축은행들이 세창이 요청한 PF를 심사해 대출을 결정하기도 한 것으로 드러났다.
세창의 최종부도금액은 100억원 수준이지만 추가로 만기가 돌아오는 어음이 800억원을 넘어 부도액수는 불어날 전망이다.
세창은 “1000억원이 넘는 미수채권 중 600억원을 제때 받지 못해 부도를 피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문제는 피해가 이번 한번으로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세창은 ‘짜임’이라는 아파트 브랜드로 유명해진 업체다. 2002년 353억원에서 2005년 2000억원으로 급성장했지만 지방아파트 사업 비중이 많은 상황에서 작년과 올해 분양시장 침체가 이어지자 악성채권 증가를 견디지 못했다는 점이 부도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편중이 심한 건설사들은 세창과 같은 길을 밟게 되는 연쇄부도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최근 지방 아파트 미분양 물량이 7년이래 최고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신용등급이 나빠 자금 융통이 어려운 상황에서 미분양으로 자금회전이 안되면 금융비용을 감당할 수 없고 결국 부도를 맞게 된다는 것이다.
실제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10월까지 전국에서 폐업을 신청한 건설업체가 4296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 1127개보다 3.8배나 늘었다.
◆ 금감원 “후속조치 없을 것”
하지만 금융감독원은 이번 피해로 인한 후속조치는 없을 것이라고 못을 박았다.
이미 부동산 PF에 대한 대손충당금 규정이 강화되는 등 위험에 미리 대비해왔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업계가 아우성일 만큼 충당금적립을 늘려왔기 때문에 문제될 것은 없다”면서도 “충당금을 지금보다 더 쌓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에 피해를 입은 업체들도 담보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 피해규모는 생각보다 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기진 기자 hkj77@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