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시중은행에 근무하는 정규직 행원이 일침을 가했다.
비정규직의 문제가 전 사회적으로 확산되면서 최근 일부 금융기관에서는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쏟아내기 시작했다.
시초는 국민은행이다. 국민은행의 김정태닫기

이후 농협이 비정규직 중 일부를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내용의 기사가 나왔고 수협은 신입행원 모집에 비정규직을 우선 선발한다는 보도자료를 내놨다.
이같은 내용의 보도가 아니라도 대부분의 은행에서는 매해 비정규직의 일부를 정규직으로 전환하거나 신입행원중 일부를 비정규직에서 채용하고 있다.
물론 이들 금융기관의 비정규직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평가절하하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앞뒤가 바뀌었다는 생각은 떨쳐버릴 수 없다.
현재 있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정책을 펴나가는 금융기관들은 해마다 비정규직을 채용하면서 또 한편에선 비정규직을 양산하고 있다. 정규직으로의 전환은 일단 비정규직의 채용을 줄이는 것을 전제로 진행돼야 할 것이다.
올해들어 노사정위원회는 ‘비정규직 철폐 및 차별 축소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직접 금융기관의 비정규직 실태조사에 나서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들의 논의는 별 진전을 보이지 않은채 겉돌고만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동자 위원으로 나선 금융산업노조의 안은 사용자 위원(은행연합회) 측의 반대로 점점 원칙적인 수준으로 후퇴하고 있다.
은행연합회는 앞으로 있을 금융기관 공동단체협약, 정부의 관련법안 제정 등을 핑계로 발뺌하고 있는 상황이다. 노사정위원회를 통한 합의 자체도 부담스러워 하고 있다.
비정규직 문제의 심각성은 일선 영업점에서 더욱 실감하고 있다.
모 은행의 영업점 팀장과 통화할 일이 있었다. 그는 “실제 같은 곳에서 일하고 업무 내용도 별반 다르지 않은 상황에서 정규직과의 급여 차이가 워낙 커 비정규직의 사기가 떨어진다”며 “이런 근로조건의 차이 때문에 조직을 이끌어가기도 힘든 측면이 있다”고 토로했다. 금융기관들이 진정으로 비정규직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다면 단순히 일회성이 아닌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내놔야 한다.
원정희 기자 hgga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