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여신금융업계에 따르면 삼성카드와 캐피탈의 합병을 계기로 현대카드와 캐피탈, 롯데카드와 캐피탈도 장기적으로 합병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그룹차원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관련기사 8면
이들 여신전문업체는 현재 적자경영에 시달리면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같은 시각은 더욱 탄력을 받고 있다.
삼성카드와 캐피탈의 통합 과정에서 삼성생명이 카드 증자에 참여하는 방안을 협의중에 있으며 이는 수신기능이 있는 삼성생명을 통해 안정적인 자금조달을 가능케 하기 위한 장기적인 포석인 것으로 풀이된다.
또 국민, 외환, 우리 등 전업계 카드사들이 잇따라 은행으로의 통합이 결정되면서 현재 수신기능을 갖지 못한 카드사는 재벌계 카드사인 현대카드와 롯데카드 뿐이다.
이에 따라 이들 카드사들이 장기적으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그룹내 캐피탈사와의 통합을 통해 중복업무를 최대한 줄이고 시너지효과를 창출하는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다.
그룹 입장에서도 두 개의 여신전문업체를 계열사로 두고 있는 것이 부담스러운게 사실이다.
이들 업체는 일단 삼성카드와 캐피탈의 합병을 통한 구조조정의 성공여부를 지켜보는 것과 함께 내년도 경기전망 및 여전업 전반적인 경기변동 추이를 분석하면서 당분간 시장 상황을 지켜볼 것으로 보인다.
관련업계 관계자는 “그룹내 두 개의 여전사가 적자에 허덕이며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굳이 따로 둘 필요는 없을 것”이라며 “장기적으론 합병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현대카드 고위 관계자는 “현대캐피탈은 자동차 할부를 주로 하고 있는 등 현대카드와는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아직 합병에 대한 검토는 하지 않고 있다”고 일축했다.
원정희 기자 hgga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