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동안 정부의 증시통합방안과 관련해 장외에서 강력하게 투쟁을 전개해왔던 선물거래소가 증권·선물시장의 체제개편을 논의하는 ‘증권·선물시장 선진화 추진위원회’에 조건부로 참석키로 결정함에 따라 과연 소기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을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업계는 선물거래소의 증권선물시장 선진화 추진위원회 참석이 선물업계와의 합의에 의한 것이 아닌 독단적인 결정으로 이뤄진 것인 만큼 이번 회의 참석을 통해 업계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관철시키지 못한다면 향후 논란의 불씨만 남기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선물거래소 강정호 이사장은 지난 5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정부의 증시통합과 관련 선물거래소가 그 동안의 입장을 선회한 데에 따른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 그는 “증권·선물시장 선진화 추진위원회 참석이 정부의 시장통합에 대해 선물거래소가 이를 수용하겠다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며, “장외투쟁이 아닌 이해 관계자들과의 면대면 협상을 통해 선물시장이 전문적인 시장으로 육성되기 위한 각종 제반 사항들을 제시하고 이를 관철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선물시장을 독자적인 시장으로 육성시키기 위해 전문인력충원, 교육·훈련, 보상체계, 국제협력, 상품개발, 조사분야의 독자성 및 전문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이사회, 운영위원회의 의사결정기구에 균형된 반영을 요구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또 증시통합으로 인해 선물시장의 경쟁력이 축소될 것이 불가피한 만큼 주식회사로의 조기 전환 및 상장일정 마련 등을 함께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 강력한 인재육성 시스템을 마련해 선물시장의 전문인력 육성에 과감한 투자는 물론 직원들의 직장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조기에 불식시킬 수 있는 조치도 함께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업계는 선물거래소의 이 같은 요구가 과연 얼마나 관철될 수 있을 지 상당한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물론 선물거래소가 선물시장의 생존을 위해 다양한 제반 사항을 요구하고 관철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지만 증시통합이 선물거래소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증권거래소 및 코스닥증권시장과도 연계돼 있는 것인 만큼 선물거래소의 일방적인 주장만 수용되기가 어렵지 않겠냐는 것이다.
한 선물사 사장은 “선물거래소가 증권·선물시장 선진화 추진위원회에 참석키로 입장을 선회하면서 선물사 사장들의 합의를 구하지 않은 점에 대해 상당한 배신감을 느낀다”면서, “선물거래소가 조건부로 회의에 참석해 선물시장의 독자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제반사항들을 요구하겠지만 솔직히 어느 정도 수용될 수 있을지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성호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