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이 같은 대책이 3개월내에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둬야 카드채 시장이 정상화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윤영환 연구위원은 “정부의 유동성 대책 효과는 인정되지만, 결국은 투자심리 회복을 통한 카드채 발행 재개가 관건”이라며, “정보투명성과 단기금융시장의 이슈는 유동성 위기의 발단이며 극복의 열쇠”라고 설명했다.
윤 연구위원은 또 “정부의 안정화 대책과 상당한 가격 유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카드채 시장이 얼어붙어 있는 것은 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근본적인 원인”이라며, “시스템 보완 없이는 하반기 이후 만기도래 채권의 차환 발행이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 연구위원은 이 밖에 “카드채 환매사태는 SK글로벌 충격에 따른 돌발적 사건이 아니라 2.11 LG 대환론 공개로 정보투명성 이슈로 불안해하던 투자심리가 다시 위축되면서 위기감을 키웠고, CP시장의 낮은 정보투명성과 유동성 리스크 예방장치 부재로 왜곡된 자금흐름이 사태를 악화시켰다”며, “시장의 신뢰회복을 통해 위기를 극복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성호 기자 sh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