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보험, 대형사 위주 안정화 주력…증권, 투자 축소될 듯
올해 금융권 IT투자는 전반적으로 지난해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이미 전산 인프라 부문에서 대규모 투자가 있었기 때문.
대형화 차별화를 앞세운 은행권은 올해 전체적으로 1조∼1조7천억원이 투자된다.
국민 신한 하나 우리은행 등은 지주회사와 금융그룹의 교차판매를 지원할 수 있는 고객DB통합, CRM, 시스템 관리와 비용절감을 위한 서버통합, 전자금융시스템 개선을 우선 투자대상으로 꼽고 있다.
외환 제일 한미은행 등은 특화상품 및 서비스 개발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증권업계는 지난해에 비해 축소된다.
지난해 대규모로 투자된 재해복구센터, 원장이관, 공인인증 등 전산 인프라에 대한 안정화 와 ROI 검증에 나서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용을 줄이기 위한 IT개선계획과 사이버 트레이딩 증가에 따른 HTS 시장 전망은 그리 나쁘지 않다.
비용절감을 위한 서버통합과 HTS 부문의 아웃소싱 등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도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보험업계는 지난해 수준의 예산이 책정됐다. 삼성 교보 대한생명 등이 800-1000억원 가량이 책정돼 대형사 위주의 투자가 예상되고 있으며, 손보사들은 중소형사를 중심으로 투자가 이뤄질 전망이다.
카드업계는 후발 카드사의 IT환경 개선과 함께 차세대 전산시스템 및 CRM 고도화 작업이 맞물려 활성화 분위기를 띄고 있다.
특히 카드사들은 온라인 채널 강화를 통해 소비자 중심의 고객맞춤 서비스를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금융IT팀>
관리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