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 21일, 각 은행의 전산 담당자들이 은행연합회에 모여 재정정보시스템과 창구 지로수납 자동화 시스템간 연계 현황을 검토하고 향후 추진 일정을 조율했다.
이 자리에서 국민, 한미, 하나-서울을 제외한 대부분의 은행들은 시범 서비스를 오픈하는 내달 1일까지 시스템 연계 작업을 마치기로 합의했다. 국민, 하나-서울은행은 합병에 따른 전산통합, 한미은행은 인터넷뱅킹 신규 오픈 일정 때문에 전자 국세 수납 서비스를 본격화하는 내년 1월까지 시스템을 구축 완료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오는 11월부터는 은행별로 다른 창구 지로 수납 처리 절차를 통일하고 지로용지에 표시된 고유번호를 스캐닝으로 처리하는 등 영업점에서의 국세 수납 업무를 전산화하게 된다.
금융결제원내 센터와 공동망에서 프로그램을 약간 변경하는 정도에서 연계가 완료되는 인터넷, 자동화기기와 달리 창구에서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국세 수납 업무는 은행마다 형식과 기준이 틀려 이를 통일하고 전산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은행들은 지난해 4월부터 국가재정정보시스템 연계 작업을 시작해 이미 올해 8월, 인터넷과 자동화기기에서 국세를 납부할 수 있는 서비스를 오픈했다.
국가재정정보시스템은 국세청(국세)·관세청(관세)·경찰청(면허관리)·특허청(특허수수료)·해양수산부(항만수수료) 등 52개 국고 기관에서 관리하던 국세 지출입 업무를 통합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조달시스템·예산시스템·기금관리시스템 등 모든 재정시스템과 금융전산망, 한국은행 전산망 등이 연결된다.
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연간 1200억원의 행정비용 절감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은행의 입장에서는 건당 1200원에 달하는 창구 업무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서울시청, 국세청 등 그동안 자체 빌링시스템을 구축, 서비스하려던 빌러들을 아우른 온라인 지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