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그룹이 평화은행과 달리 경남, 광주은행과의 전산통합 과정에서 여러 난제에 부딪혀 고심하고 있다.
4일 금융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우리금융이 경남, 광주은행과의 전산통합 작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려면 업무 표준화, 기간계시스템 통일, 전산인력 이전 문제 등을 마무리지어야 한다.
경남, 광주은행은 법인격을 유지하게 되므로 평화은행을 합병할 때처럼 우리은행 시스템에 원장을 일괄적으로 통합할 수 없다. 표준화 기준에 따라 세 은행의 공통 업무 시스템 부문을 통합해야 한다. 우리금융은 오는 11월까지 경남, 광주은행과의 업무 표준화 범위를 확정할 계획이다. 표준화 작업은 지주회사내 합추위에서 진행하고 있다. 두 은행의 규모가 작아 지방은행으로써 법인격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일부 업무를 제외하고는 상당부분 우리은행 기준으로 표준화하게 될 전망이다.
또한 평화은행은 우리은행과 비슷한 전산 환경을 갖추고 있었지만 광주은행은 유닉스 체제를 채택하고 있다. 원장을 그대로 우리은행 시스템에 통합한다 해도 데이터 전환이 까다로울 것으로 예상된다. 경남은행은 메인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어 통합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 이에 따라 우리금융은 경남은행 시스템을 먼저 통합하고 나중에 광주은행을 통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경남, 광주은행 전산부서 직원들의 주거지 이전과 보상체계 마련도 문제다.
우리금융은 기본적으로 두 은행의 전산인력의 고용을 모두 승계할 방침이지만 직원들중 얼마가 현재의 생활 기반을 버리고 서울로 옮겨올지는 미지수다.
서울은 지방에 비해 집값을 비롯, 전체적으로 물가가 높기 때문에 두 은행 전산인력이 우리금융정보시스템으로 옮겨 임금을 올려받게 돼도 경제적인 이득이 별로 없다. 은행에서 IT자회사로 소속을 바꾸는데다 지금까지의 생활 기반을 포기하는 위험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우리금융은 두 은행 전산부서 직원들에 대한 보상체계를 별도로 마련해야 할 판이다.
김미선 기자 una@fntimes.com